정부는 2011년 일본 대지진으로 수출 부진을 겪고 있는 화훼농가를 돕기 위해 매주 화요일을 `꽃사는 날`로 지정했다.

지난 2014년에는 1월부터 12월에 어울릴만한 꽃을 선정해 `이달의 꽃`이라는 제도도 있었다. 이 모두 꽃 소비를 늘려 보려는 아이디어들이었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한때(2015년) 1조원을 넘었던 화훼산업 규모는 7000억원대로 떨어졌고 2010년 1억 달러를 넘어섰던 화훼 수출도 하향길로 접어들고 있다.

국민 1인당 연간 화훼 소비액은 지난 2015년 기준 연간 1만5000원으로 10여년 전에 비해 절반으로 줄었다. 선진국인 노르웨이(16만원), 스위스(15만원)에 비하면 10분의 1 수준이다.

이처럼 우리나라 화훼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해 9월 28일 시행에 들어간 김영란법은 마른 꽃에 불을 지핀 형국이 됐다.

5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김영란법 시행 이후 화환과 난 등 선물 주문은 20% 이상 감소한 반면, 수취거부 반송은 25%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공직사회의 인사철 분위기가 확연히 달라진 것이 바로 그 예다. 승진 등 인사를 축하해주기 위해 자연스럽게 오가던 화분, 꽃바구니가 반송되기 일쑤고, 경비실 입구에서부터 출입 자체를 막아 화훼 업계와 꽃가게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지금보다 경기가 나빴던 1980-90년대 만 해도 `비오는 수요일엔 빨간 장미`를 사기도 했고, 어버이날이나 스승의 날에는 선물받은 카네이션을 하루종일 가슴에 달고 다니기도 했다. 어느 누구도 이런 꽃을 `뇌물`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하지만 꽃 소비 위축이 지속된다면 화훼 산업의 근간이 송두리째 흔들릴지도 모른다. 화훼산업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꽃을 소비하는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 우리나라는 꽃을 사는 85% 이상이 경조사용과 선물용으로 소비하지만, 일본과 미국 등은 화훼 선진국은 70%이상이 가정이나 사무실 장식용으로 소비된다.

2016년 세계행복지수 보고서를 보면 조사대상 157개국 중 스위스가 2위, 노르웨이가 4위로 꽃을 많이 소비하는 나라가 행복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행복지수도 높이고, 위기에 빠진 화훼 업계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은 아주 가까이에 있다. 원세연 지방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원세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