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의 새로운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도시공원화는 아직 낯선 단계지만 이미 낙후된 공원 주변 지역에 활기를 유도하기 위해 시도되고 있는 재생의 새로운 트렌드다.

도시 내 공원을 민간사업자가 개발해 시민에게는 새로운 휴식처를, 사업자에게는 경제적 이익을 돌려주자는 것이 도시공원화 사업의 주요 목적이다.

뉴욕과 런던의 공원화는 지방의 중소도시들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돼 도시 공원화에 성공하며 숨을 쉬는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세계적인 명소로 자리잡았다.

도시의 공원화는 결코 만만한 일은 아니다. 공원 크기에 따라서 수천억 원의 재원이 수반될 수 있고 사업내용에 따라 환경단체들의 반발도 따를 수 있다.

하지만 목전의 이익을 버리고 시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본연의 목표를 위해 추진된다면 미래를 위해 실행에 옮겨야 한다. 상당수 지자체들은 이미 사업 중요성을 파악하고 속도를 내고 있다.

대전지역에서도 이 사업은 큰 이슈다. 사업 시행 전부터 사업중요성보다는 의혹투성이라는 말이 심심치 않게 나온다. 도시공원화에 대한 대전시의 구체적인 로드맵은 커녕 사업자 선정방식부터 말들이 많다.

공(公)과 사(私)가 공존하는 이 사업에 대전시는 모든 사업자에게 공정한 경쟁이 아닌 사업 접수 순으로 사업을 강행하고 있다.

이런 논란은 지난해 초부터 불거졌지만 시는 당시 일몰제를 앞두고 있어 사업을 신속히 처리해야 했고, 수천억 원이 투입되는 사업에 참여자가 없을 것이라고 강변했다.

1년이 지난 현재 타 지자체들은 각종 잡음을 없애기 위해 공모제를 통해 공정한 경쟁을 유도하고 있고, 수주에 메마른 지역 건설업계 또한 대전시에 사업에 응모할 수 있는 기회라도 달라며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최근에는 `의혹`,`특혜` 등과 같은 꽤 구체적인 시나리오가 등장하고 있다. 1년 전부터 사업을 추진 중인 업체는 지역업체도 아니다. 이름만 바꾼 업체가 대전 내 다른 공원화에 참여했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같은 특혜의혹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시의회와 환경단체 등 지역사회가 적극 나서고 있지만 시 행정은 복지부동이다. 공정한 경쟁은 이 사업이 추구하는 시민 삶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첫 번째 단추임을 확인해야 한다. 김대호 지방부 청주주재 차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대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