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갑 중구청장
박용갑 중구청장
젠트리피케이션(둥지내몰림현상)은 본래 신사 계급을 뜻하는 `젠트리`에서 파생된 말로, 낙후 지역에 외부인이 들어와 지역이 다시 활성화되는 현상을 뜻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외부인이 유입되면서 본래 거주하던 원주민이 밀려나는 부정적인 의미로 많이 쓰이고 있다. 도시 환경이 변하면서 중·상류층이 낙후됐던 구도심의 주거지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주거비용이 상승하면서 비싼 월세 등을 감당할 수 없는 원주민들이 다른 곳으로 밀려나는 현상을 이른다. 이 현상은 1964년 영국의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R. Glass)가 노동자들의 거주지에 중산층이 이주를 해오면서 지역 전체의 구성과 성격이 변하는 것을 설명하면서 처음 사용했다.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나는 과정은 대도시의 교외화(郊外化) 현상과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 현재 대전에서의 경우를 보면 원도심 공동화 현상을 원인으로 꼽을수 있다.

미국과 영국 등 선진국에서 나타난 이러한 현상들은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번성해진 구도심의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한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되어 사회적 관심을 끌었다. 대표적 사례로 홍익대학교 인근(홍대 앞)이나 경리단길, 경복궁 근처의 서촌, 상수동 등지는 임대료가 저렴한 지역에 독특한 분위기의 카페나 공방, 갤러리 등이 들어서면서 입소문을 타고 유동인구가 늘어났다. 하지만 이처럼 상권이 활성화되면서 자본이 유입되어 대형 프랜차이즈 점포가 입점하는 등 대규모 상업지구로 변모하였고, 결국 치솟은 임대료를 감당할 수 없게 된 기존의 소규모 상인들이 떠나게 되었다.

대전과 가까운 전주시를 사례로 보면, 전주한옥마을에 관광객이 몰려들자 지가가 폭등하고 임대료가 상승했으며, 주거지역의 경우 주택이 상업 또는 숙박시설(한옥체험)로 전용되고 정주환경이 점차 안좋아지면서 지나친 상업화로 지역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는 현상을 볼 수가 있다.

이런 현상을 예방하고 원도심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중구는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대전여중 일원을 대상으로 한 대흥동 골목재생 1단계 사업완료에 이어 지난해 말 옛 대전극장 거리 일원을 대상으로 추진한 골목재생 2단계 사업을 완료했다.

구는 골목재생사업이 으능정이 거리와의 연계를 통한 상권회복 등 사업추진에 따른 시너지 효과 제고를 위해 시·구비 6억 원을 확보하고 옛 제일극장 거리(커플존 거리) 250m 구간에 대한 추가 정비사업을 지난해 말 완료했다. 옛 대전극장과 제일극장을 잇는 총 500m 구간에 대한 도로정비와 야간 경관조명 사업 등이 완료됨에 따라 제일극장 거리와 으능정이거리, 대흥동을 잇는 상권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을 완료하게 된 것이다.

구는 기반시설 조성에 따른 거리활성화로 인한 임대료 인상으로 세입자가 내몰리는 젠트리피케이션(둥지내몰림현상) 방지를 위해 건물주와 임차인의 임대료 안정협약을 지난 18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협약대상지 내 상점의 임대료를 3년간 동결하게 되며 이후 3년간은 한국은행 전년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맞춰 임대료를 산정해 적용시키게 된다. 협약대상지는 중구 은행동 중앙로 170번길과 중앙로 170번길에 접합한 도로인 대종로 488, 164, 480번길이 포함된다.

대전시와 협력하여 이 거리의 건물주 43명은 임대료를 3년간 동결하고 이후 3년간은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맞춰 임대료를 적용하며 6년 후에는 향후 조직될 운영위원회가 주변 임대료 시세를 고려해 증감여부를 적용함으로써 급격한 임대료 상승으로 임차인이 떠나야 하는 현상을 방지해 나갈 예정이다.

이와함께 임대·임차인들은 주차·청소·쓰레기배출·방범 등에 적극 협조함은 물론, 원도심 일자리창출을 위한 청년창업에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을 할 예정이다.

이제는 상생발전이 중요한 키워드이다.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 나간다면 원도심활성화의 길은 그리 멀지 않을 것이다.

박용갑 대전 중구청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