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사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사진
인류는 현재 우리가 알아낸 것보다 앞으로 알아야 할 것들이 더 많고, 메르스, 지카 바이러스 등 현실의 새로운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의 문제들을 끊임없이 탐구하며 연구를 통해 답을 찾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국내 유일의 바이오 분야 전문 정부 출연연인 한국생명공학연구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2015년에도 이미 굵직한 연구성과들을 통해 무병장수의 꿈에 한걸음 다가서고 있다. 생명연 염영일 박사 연구팀은 피로물질로 알려진 젖산(Lactate)이 세포성장 및 혈관생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신호물질로 작용함을 규명하여 생물학 분야의 세계적 저널인 셀지에 게재됐다. 이러한 성과는 향후 젖산과 작용하는 세포신호전달체계 조절을 통한 암 및 염증질환 치료제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2016년에는 생명연 김명희 박사 연구팀은 세포내 EPRS 단백질의 항바이러스 면역 활성 기전을 규명하여 면역학 분야의 세계적인 저널인 네이쳐 이뮤놀로지에 게재됐다. 메르스, 에볼라, 독감 바이러스 등 광범위한 RNA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기초 연구성과뿐만 아니라 생명연은 바이오 분야 국가·사회적 현안 해결을 위해 노화, 희귀·난치질환 등 국가·사회적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5개의`전문연구단`을 신설하기도 했다. 이러한 전문연구단은 글로벌 선도연구그룹으로 지속 육성하여, 국가지식중심체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전문연구단의 연구역량을 집중해,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세계적인 핵심연구기관`으로 집중 육성될 계획이다.

또 생명연은 새롭게 요구되는 융·복합 기술에 대한 수요에 대비하여, 출연연 중심의 on-site형 연구조직인 CiM 융합연구단의 주관기관으로서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그간 생명연은 줄기세포를 근거로 한 NK세포치료기술을 개발해 서울아산병원과 임상연구를 통한 세포치료제의 실용화를 위해 노력하여 왔다. 특히 다양한 항암면역치료 기술과 융합을 하는 동시에 기존의 항암체·항체·나노 기술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신규 융·복합 치료를 개발해, 암치료 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넓히는 실용화 기술 개발이 기대된다.

앞으로 생명연은 CiM 융합연구단 주관기관으로서 △줄기세포를 통해 치료제를 개발하여 난치성 질환 환자에게 새로운 삶을 제공하고 △신약 산업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출연연과 병원이 함께 세포치료제 개발 및 임상 연구를 통해 상용화가 가능한 치료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들의 일환으로 톰슨로이터 사는 2015·2016년 2년 연속 아시아 암 연구분야 혁신기관의 하나로 생명연을 선정하기도 했다.

또한 생명연은 영장류, 실험동물, 미생물자원 등과 관련된 인프라 시설을 개방하고 수요기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산업 지원형 생명자원 인프라 강화 △수요 맞춤형 연구지원 인프라 강화 △국가생명연구자원 정보활용 기반 확충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국내외 생명연구자원·정보를 전략적으로 확보·관리하고, 수요자 중심 연구인프라를 확충하여, 바이오 인프라시설의 범국가적 활용도 제고 및 국가 바이오 역량 강화가 기대되고 있다. 김달호 기자

※ 이 기사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작성 됐습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본관동 사진
본관동 사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경사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경사진
연구원 전경
연구원 전경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