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를 통해 제조된 텅스텐 기반 고강도 신합금. 사진=KAIST 제공
연구를 통해 제조된 텅스텐 기반 고강도 신합금. 사진=KAIST 제공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류호진 교수 연구팀은 칵테일처럼 여러 원소를 혼합해 핵융합 플라즈마의 대면재로 적용 가능한 신소재 합금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핵융합 발전과 같은 극한적 환경에서 사용되는 금속의 범위가 다양하게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24일 연구팀에 따르면 미래 에너지원으로 여겨지는 핵융합 발전을 실현하려면 고온의 플라즈마를 가두고 있는 토카막(tokamak) 용기의 내구성이 중요하다. 도넛 모양의 토카막은 강력한 자기장을 통해 1억℃가 넘는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플라즈마의 고온에 따른 열부하, 플라즈마 이온, 중성자 등으로 인해 토카막 용기에 손상이 발생한다. 이 토카막 용기를 보호하기 위한 대면재로 텅스텐 등의 금속이 쓰이고 있으나 완벽한 핵융합 발전을 위해서는 고성능 신소재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류 교수 연구팀은 텅스텐에 소량의 금속을 첨가해 물성을 개량하는 기존 방법들보다 한 발 더 나아가 다량의 금속을 동시에 혼합하는 기술을 활용했다. 이는 칵테일처럼 여러 금속 분말을 혼합한 후 소결하는 분말야금 기술로, 이를 통해 텅스텐보다 경도와 강도가 2배 이상 향상된 신소재 합금을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고온 기계적 특성과 더불어 열전도도, 플라즈마 상호작용, 중성자 조사취화, 트리튬 흡수 억제, 고온 내산화 특성 등을 최적화하는 합금 조성을 찾기 위한 연구를 계속 진행할 예정이다.

류 교수는 "핵융합 플라즈마 대면재는 열 충격과 플라즈마 및 중성자로 인한 손상이 극심해 이를 견딜 만한 금속이 없을 정도로 극한적 환경에 노출된다"며 "이번 연구결과로 핵융합 및 원자력용 고융점 저방사화 금속을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달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