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5년의 국정 밑그림을 그릴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어제부터 기재부, 외교부 등의 업무보고 청취를 시작으로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사실상의 대통령직인수위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위가 6개 분과별로 업무보고 청취와 토론 등을 통해 집권 5개의 국정 청사진을 마련해야 하는 숨가쁜 일정에 돌입한 것이다. 앞으로 50일에서 최장 70일 동안 활동하면서 새 정부의 기조를 뒷받침할 정책과제 등을 선정하고 조율해야 하는 역할이다. 문 대통령이 후보 시절 제시한 201개 공약은 물론 공약에 포함되지 않았더라도 수행해야 할 중점 과제 등에 대한 이행계획도 이들의 손을 거쳐야 하는 만큼 책임이 막중하다.

막 첫 발을 뗀 국정기획위의 방향성은 어제 업무보고 청취 과정에서 얼핏 드러났다. 각 부처의 정책 개선 방향, 대선 공약 이행 방안 등을 중심으로 이뤄진 업무보고의 부처별 순서는 외교안보분과의 경우 외교부, 경제1분과는 기획재정부가 맨 앞을 차지했다. 이는 북핵 위기와 사드 배치 등으로 인한 긴장과 갈등을 외교적으로 해결하고, 소득주도 성장으로 경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동시 일자리 창출 등에 전념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소요재원 파악과 재원마련 대책을 전담할 `재정계획수립 태스크포스`도 구성 운영키로 한 것도 앞으로 선정될 국정과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국정기획위가 명심할 부분이 있다. 그것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논란이 되는 전임 정부의 핵심 정책과 관련한 부분이다. 정책적 오류나 하자에 관계없이 단지 전임 정권의 정책이라는 이유로 폐기처분되는 악순환이 거듭됐다. 문재인 정부는 이런 폐단을 반복하지 않길 바란다. 전임 정부의 정책이라도 가치가 있다면 과감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아울러 대선 때 여타 후보들이 제시한 공약 중 타당성이 있는 부분은 즉각 수용하는 포용력도 필요하다. 힘차게 출발한 문재인 정부의 국정기획위는 국정의 일관성과 연속성을 염두에 두고 5년이 아니라 50년 이상 지속될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 근거를 만드는데 심혈을 기울였으면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