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시재생] ⑥ 철도도시 대전 인프라를 살리자

관사촌. 사진=신호철 기자
관사촌. 사진=신호철 기자
철도는 인류에게 근대화를 가져다 준 길이다. 미국이 세계사의 주역으로 모습을 드러낸 것도 동부와 서부를 잇는 대륙횡단철도가 건설된 19세기말부터다. 우리나라도 1905년 경부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본격적인 근대화가 시작됐다. 우리나라 철도교통의 중심은 단연 대전이다. 경부선 뿐 만 아니라 한밭을 기점으로 한 호남선 철도가 1913년 완공되면서 대전은 서울과 영·호남을 연결하는 교통중심지가 됐다.

고속열차시대에 들어선 지금도 대전역은 여전히 철도교통의 중심지다. 연간 유동인구가 1500만명에 달한다. 역사 옆에는 국가철도망을 관장하는 철도공사 코레일이 들어서 있다. 앞으로 신수도권을 관통하는 충청권 광역철도 사업과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각광받는 트램이 도입될 예정이기도 하다. 대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철도가 관통하고 있는 셈이다. 대전역을 중심으로 한 원도심 재생사업에 철도 인프라를 활용해야 하는 이유다.

대전역은 지금 일대 전환기를 맞고 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최근 역사 주변에 둘러져 있던 공사 가림막을 모두 철거했다. 총 35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 증축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대전역은 대합실 규모를 기존 2507㎡에서 6422㎡로 늘렸다.

재개발 측면에서 접근한 대전역 복합구역 사업은 수년간 정체돼 있지만 이 일대 도시재생 작업은 요란하지는 않지만 점차 틀을 갖춰가고 있다. `2017 마을미술프로젝트`은 대전역 주변 동구 정동과 원동, 역전길, 역전시장길, 창조길 등 낙후된 거리를 문화예술로 채워넣는 사업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재)아름다운맵이 공동주관해 국비 6억 원 등 19억 원이 투입된다.

대전역세권 도시재생 사업은 철도관사촌이라는 오랜 과거까지 이어진다. 소제동 철도관사촌은 1905년 대전역이 정식 개통되면서 일하던 일본인들이 자리잡고 살던 터다. 처음 대전에는 경부선 철도부설을 위한 직원과 노동자들이 대부분이었지만 점차 대전이 개발될 것을 기대했던 일본인들이 사업을 위해 이주해 와 역 주변 은행동, 정동, 소제동 등에 거주했다. 이 중 일제식 목조건물들이 다수 남아 있는 곳이 소제동이다.

소제동에는 과거 `소제호(蘇堤湖)`라는 큰 호수가 있었는데 대전역 일대가 개발되면서 1927년 주변 산과 구릉들을 깍아 소제호를 매립했다. 철도관사촌은 1920-1930년대 건립된 약 40여 채 관사가 남아 있다.

1990년대 이후 주요 도시기능이 둔산으로 이전하면서 소제동 공동화 현상 등 주거환경이 열악해졌고 시는 재정비촉진지구를 제외한 일부 지역을 근대문화유산으로 활용하기 위해 기록화조사 및 문화예술 프로그램 등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도시재생의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는 문화(관광)주도형의 도시재생을 통해 시민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향유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대전역, 철도관사촌이 현재와 과거를 상징한다면, 서대전역 철도삼각지대는 철도문화의 미래다. 호남선 철도의 교통 요충지였던 서대전역은 2015년 호남선 KTX가 개통되면서 침체의 길을 걷고 있다. 시는 이를 반전시킬 카드로 철도삼각 지대 특화지구를 검토 중이다. 2025년 트램 개통을 염두에 두고 서대전역-용두역-서대전네거리를 잇는 삼각지대를 특구로 개발하겠다는 복안이다. 고속철도(KTX)역인 서대전역과 충청권 광역철도 용두역을 중심으로 철도박물관(대전선)과 연계한 철도테마시설, 호남음식 특화거리 등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이러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철도 인프라를 활용한 도시재생의 중심에는 국립철도박물관이 있다. 시는 대전역과 중촌근린공원 일대를 철도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한 눈에 돌아보고 철도문화를 즐길 수 있는 테마파크로 조성해 명실상부한 철도중심도시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한국철도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계승해 미래 철도문화산업을 선도하겠다는 구상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달 안으로 철도박물관 입지 선정 용역을 발주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은 전국 어디서나 접근이 편리한 지리적 잇점, 코레일, 철도시설공단 본사 입지, 철도관사촌 등의 철도문화유산, 증기기관차 시범 운영이 가능한 대전선(5.7km) 입지, 트램 선도도시 등 장점이 많지만 유치 경쟁이 만만치만은 않다. 용역 발주와 함께 전국 지자체간 첨예한 유치 경쟁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현재 철도박물관 유치에 관심을 보이는 지방자치단체는 대전시를 비롯해 경기 의왕, 부산·울산·원주 등 10여곳에 달한다. 같은 충청권 내에서도 충북 오송이 유치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대전시 발전의 뿌리인 원도심 재생사업의 사활이 걸린 만큼 철도박물관 유치 등에 지역 역량을 결집할 때다.

이용민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