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달걀` 농가에 대한 실태조사가 마무리 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어제 전국 산란계 농가 1239곳에 대한 전수조사결과 52곳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사용금지 살충제나 기준치 이상의 성분이 검출된 것이다. 당초엔 49개 농가였지만 검사항목이 누락돼 논란이 된 320개 농가에 대한 보완검사에서 3곳이 추가됐다. 이 가운데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49개 농장의 451만여 개의 달걀에 대해선 압류하거나 폐기처분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미 35만개는 빵이나 훈제달걀 등의 형태로 가공유통 됐다고 한다. 그동안 검출된 농가 숫자 등이 오락가락했던 점에 비춰보면 미덥지는 않지만 살충제 달걀에 대한 최종적인 실태파악이 이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식약처는 이날 조사결과와 함께 국내 `살충제 달걀`이 인체에 해를 가할 정도는 아니라고 밝혔다. 피프로닐에 오염된 달걀을 1-2살짜리는 하루 24개, 성인은 126개까지 먹어도 건강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이는 살충제 파동에 놀란 소비자들을 안심시키려는 의도란 것을 모르지는 않는다. 소비자들도 막연히 불안해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사실이 그렇다 하더라도 식품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당국으로서 아쉬움이 남는다고 하겠다. 안전하다는 홍보도 중요하지만 재발방지를 위한 조치와 다짐이 더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살충제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거나 미흡했다면 서둘러 정비를 해야 마땅하다. 일부 농가에선 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검출됐다는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인근 농작물에 뿌린 농약에 오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논란을 없애려면 사육농가 인근에 대한 농약사용도 규정할 필요가 있다. 물론 기존의 준수사항에 대한 철저한 지도감독이 필요함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당국의 형식적이고 허술한 관리가 이번 파동을 부추겼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살충제 사태는 국민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줬다.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급한 고비만 넘기고 나면 언제 그랬냐는 식으로 유야무야해서도 안 된다. `살충제 달걀` 재발여부는 이제 당국의 대처에 달렸다고 하겠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