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무중이다. 이완구 전 국무총리의 정치 행보 말이다. 지방선거 열기가 달아오르건만 서두를 게 없다는 속내가 엿보인다. 대법원 확정 판결로 족쇄를 풀어버리고도 지지자들의 출마 요청에 묵묵부답이다. 최근엔 미국에서 호흡을 길게 가져가고 있어 여러 해석을 낳는다. 선거전에 뛰어들 경우 전체 지방선거 판세와 충청대망론, 나아가 여의도 정치지형에 여파가 불가피하다. 대진표 윤곽이 드러나는 가운데 마지막 퍼즐로 분석되건만 역할론과 관련해 선문답을 이어가고 있다.

사실 충남도지사는 `맞지 않는 옷`이 될 수 있겠다. 보수 재건이라는 명분이라고 한들 작은 옷을 조여 입고선 중앙정치 무대로 보폭을 넓히기 힘들다. 유권자 시선이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출마로 옮아간 이유다. 충남의 정치 1번지 천안에선 자유한국당 당협위원장들을 중심으로 천안 갑 추대론이 분출됐다. 하지만 홍준표 대표 등 당 지도부는 경계의 고삐를 늦추지 않는 모양새다. 자충수라는 비판에도 길환영 전 KBS 사장을 영입하며 전략공천 가능성을 내비친다.

이 전 총리의 의중은 뭘까. 3년 여의 칩거를 끝낸 그가 처음으로 찾은 곳이 한 때 지역구였던 홍성이다. 11대 조부로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을 지낸 `충신 의헌공 이광윤묘`를 참배하며 정치 재개의 신호탄을 쐈다. "단순히 할아버님을 뵈러 온 것"이라는 말을 곧이 곧대로 믿을 사람은 없다. "(누가 됐든) `충청대망론`은 꺾이지 않았다"데 방점이 찍혔다는 게 설득력 있다. 안희정 전 지사 사태로 분노하고 참담해 하는 충청인들에게 대망론을 거론한 것 자체가 의미심장하다. 정치 복귀 걸음이 한국당 홍문표 사무총장의 지역구로 향한 점도 무언의 압력으로 여겨졌다.

본인의 의지나 당 지도부의 견제와는 무관하게 이 전 총리의 지방선거 효용성은 대단히 크다. 안희정 쓰나미로 충청의 진보가 위축 됐다곤 하나 보수는 여전히 기울어진 운동장에 서 있다. 지방자치 부활 이후 6차례의 대전 충남 광역단체장 선거를 야권이 독식했음에도 더불어민주당은 자신만만한 반면 한국당은 무기력증에 휩싸여 있다. 강력한 구원투수로 선거 구도를 흔들지 않고선 반전을 기대하기 어렵건만 한국당은 달팽이 뿔 위에서 영토 싸움 격이다.

지방선거는 지방권력만의 문제로 귀결되지 않는다. 10여 곳에서 재보선이 치러지면서 향후 정국은 일대 분수령을 맞는다. 원내 1당 여부가 그 결과에 따라 뒤바뀔 수 있다. 보수 재건, 충청대망론과 더불어 개인적으론 명예회복이 시급한 이 전 총리로선 명분과 실익을 조화시킬 기회다. 당내 지도부가 우호적이지 않다는 건 걸림돌이다. 개인적 일정이라지만 미국행은 이런 분위기와 연관이 깊어 보인다.

일각에선 무소속 출마 당위성을 역설한다. 덩치와 몸값을 키워 당에 복귀해 포스트지방선거 정국에서 더 큰 역할을 하라는 주문이자 기대감이다. 다만, 2009년 세종시 수정 추진에 반발해 지사직을 던진 뒤 당적을 유지한 걸로 보아 그 답지 않은 처신이라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그럼에도 야인 시절 "진보 쪽에 (충남의) 권력이 넘어간 건 지사직을 사퇴한 내게도 일말의 책임이 있다"고 한 대목에 주목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당장의 부담을 감수하고라도 보수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결자해지에 나설 수도 있는 걸로 해석이 가능해진다.

공교롭게도 2006년 이 전 총리가 충남지사 출마를 결심한 곳이 미국이었다. 여론조사상 10% 정도의 지지율을 바탕으로 전격 경선에 나서 초반 불리를 딛고 당선되기에 이른다. 12년 뒤 2개의 선택지 앞에 섰다. 정치 시간표를 6월, 아니면 2년 뒤 21대 총선에 맞추느냐다. 조부의 묘소를 찾은 직후 미국행 비행기에 오른 건 여러 복선의 일환이다. 호시우행의 미국 구상을 어떤 퍼즐로 변용하느냐가 지방선거 정국의 최대 관전 포인트로 떠올랐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송신용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