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근로환경 변화에 따라 지역 기업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동남아 등 해외국가는 인건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고 주 6일제 국가가 많아 근로시간 단축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21일 지역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최근 2년 새 지역 기업 3곳이 베트남으로 공장 생산라인, 영업망 등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부담이 커졌고 근로시간 단축 적용이 예고되면서 사전에 해외 등지로 나가 공장을 짓고 있는 것이다. 기존의 국내 공장은 그대로 가동하는 한편, 해외에도 공장을 구축해 국내·외 경영을 병행하면서 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겠다는 게 이들의 속내다. 일부 기업의 해외 공장 생산라인 확대에 따라 다른 기업도 공장 확대를 타진하기 위해 해외로 견학을 다녀오는 등 지역기업의 해외 이전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대전의 한 중소기업 대표 A씨는 "여건만 마련된다면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려는 기업이 늘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이 일종의 방아쇠역할을 하게 된 셈"이라며 "베트남은 기존부터 한국기업들이 많이 진출해 있어 사업파트너가 많고 한국기업에 대한 이미지도 우호적이어서 가장 수요가 많다"고 말했다.

지역기업이 해외이전을 고심하는 이유는 인력의 수급과 비용이다. 최저임금 인상기조가 이어지면서 인건비 부담이 커져 재정적 타격이 불가피할 뿐더러 근로시간 단축 시 임금이 줄어들게 돼 직원들의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의 한 수출기업 대표 B씨는 "우리 회사는 12시간 씩 2교대로 24시간 공장을 가동하는데 2020년이 되면 우리도 근로시간을 줄여야 하고, 미리 3교대로 바꿔 공장을 가동하려 했더니 현장 직원들이 급여감소를 걱정하며 그만두겠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며 "급여가 한 달 80만 원 가량이 줄어들게 되니, 근로자들은 손해를 보게 되는 것이고 안 그래도 인력난에 처해 있는데 앞으로는 인력유출까지 걱정해야 할 판"이라고 토로했다.

지역 기업의 해외 이전 움직임은 고용감소 효과 등 각종 경제지표의 악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대전의 제조업 대표 C씨는 "기업의 해외 이전 움직임은 대전 뿐만이 아니다. 서울, 경기 등 매출 1000억 원 이상의 일부 수도권 업체들도 해외 이전을 준비 중"이라며 "특히 인력수급이 급한 전통제조업체눈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돼 정부에서도 이에 따른 대책을 이른 시일 내 고안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욱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