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가 덮친 1998년 7월의 충청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등 각 분야에서 다양한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먼저 복지·환경분야에서는 `환경호르몬 파동`이 일며 각종 플라스틱에 대한 경각심이 전국적으로 퍼졌다. 1998년 7월 16일자 보도에 따르면 젖병, 치아발육기, 유아용 장난감, 플라스틱 그릇류, 랩, 컵라면 용기 등 일상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물건들에서 비스페놀A, 스티렌다이머 등의 환경호르몬이 검출돼 논란이 됐다.

이어 여성들의 사회진출 증가에 따라 여성 인재양성과 지방행적조직의 여성정책 마련의 필요성도 대두됐다.

당시 IMF의 여파로 진행된 지방행정조직 개편과 관련 자치단체별 조직 축소 할당에 여성부서가 `0순위`로 거론되면서 여성계가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지역 여성계에서는 여성부서의 흡수통합과정에서 업무가 축소되거나 여성 보직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여성정책의 후퇴는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또 여성들이 맡았던 가정 및 생활관현 국·과가 사회복지분야와 통합될 경우 자치단체장이 업무의 비대화를 이유로 여성국장이나 과장 임명을 기피할 수도 있어 결국 여정 배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또 당시 지역행정의 각 분야에서 여성들의 두드러진 활약에도 불고하고 여전히 여성인물 부재론이 사그라들지 않는데 대해 여성계는 여성을 키우지 않는 당시 사회의 풍토를 지적했다. 당시 허성우 대전시 여성발전연구위원은 "여성발전이나 인재양성을 위한 투자 없이 인물부재론을 운운하는 것은 씨앗도 뿌리지 않은 채 열매 내놓으라는 격"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1998년 7월 25일에는 통계청의 정부대전청사 입주가 시작되며 정부대전청사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당시 통계청을 시작으로 조달청, 병무청, 특허청, 산림청, 철도청, 관세청, 문화재관리국, 정부기록보존소 등 10개 기관의 공무원 3936명이 서울에서 대전으로 옮겨왔다. 이에 대전시는 1만여 명의 고용창출과 8만 명의 인구증가를 가져오고 약 1400억 원의 직접소득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하기도 했다.

서지영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서지영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