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 이르게 찾아온 폭염으로 인한 고통이 크다. 장마가 일찌감치 물러간 뒤 어제 세종시에 폭염경보가 발령되는 등 충청을 포함한 전국이 며칠 째 가마솥 더위를 방불케했다. 열대야까지 이어지고 있어 당장 국민 건강이 염려스럽다. 온열환자가 연령을 가리지 않고 발생하는 현실이고 보면 심각한 상황이라고 할 만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효과적인 폭염 종합대책이 마련돼 있는 지는 의문이 든다.

대전시의 경우 노인과 거동불편자 등 폭염 취약계층을 위해 도입한 무더위 쉼터가 허술한 관리로 도마 위에 올랐다. 곳에 따라서는 여름철 필수품인 에어컨이 고장난 채 방치되거나 유통기한이 9년이 넘은 상비약을 보관하고 있는 등 부실 운영되고 있다는 얘기다. 시는 최근 무더위 쉼터 851곳을 대상으로 냉방기 가동상태 확인 같은 점검을 마무리했다는 설명이지만 현장의 체감도는 다르다. 지정만 할 게 아니라 물자 지원과 폭염교육이 동반되는 실질적인 조치를 해달라는 하소연을 흘려 들어선 안 된다.

폭염이 지속되면 취약계층의 건강이 가장 먼저 위협 받는다. 빈곤층 노인이나 활동이 어려운 장애인 등에게 무더위는 치명적이다. 행정안전부와 보건 당국, 지방자치단체 간 유기적이고 긴밀한 공조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 무더위가 한 달 이상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취약계층을 비롯한 국민 건강을 지키는 데 초점을 맞춰 무더위 쉼터 운영에서부터 횡단보도 주변 그늘 막 설치 등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인 극복 방안을 찾기 바란다.

무더위가 계속될수록 휴가지 익사 같은 인명사고가 잇따르고, 산업현장과 축산농가 등의 피해가 커진다. 각종 질병도 걱정이 된다. 효율적인 전력 사용 방안을 미리 마련해야 하고, 구체적인 매뉴얼을 만들어 예기치 않은 농축산업의 피해 방지에 나설 때다. 부처와 지자체가 제 각각 움직여서는 효과적 대응이 어렵다. 폭염을 홍수나 폭설처럼 재난으로 규정하고 종합대책을 체계화해야 그나마 피해를 최소화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