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5-1 생활권에 도입될 공유기반 교통수단과 5G 기반 교통 흐름 데이터의 인공지능(AI) 분석 체계 흐름도.
자료=국토부 제공
세종 5-1 생활권에 도입될 공유기반 교통수단과 5G 기반 교통 흐름 데이터의 인공지능(AI) 분석 체계 흐름도. 자료=국토부 제공
세종 5-1 생활권과 부산에 추진되는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청사진이 공개됐다.

시범도시에는 4차산업혁명에 관련된 신기술 실증이 이뤄지며, 신산업 육성을 위해 각종 특례 제공과 혁신성장 진흥구역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16일 상암DMC 첨단산업센터에서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는 정부가 지난 1월부터 4차산업혁명을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해 추진하는 혁신성장 사업으로, 지난 4월 총괄책임자(마스터플래너)로 세종지역에 정재승 KAIST 교수, 부산은 천재원 영국 엑센트리(XnTree) 대표가 각각 선정됐다.

기본구상에 따라 반영된 사업시행자 투자비용은 세종은 7000억 원(조성비 4000억 원, 용지비 3000억 원)이며, 부산은 1조 원(조성비 4300억 원, 용지비 5700억 원) 규모며, 정부 예산 규모와 추진 세부 일정은 올해 연말 확정될 계획이다.

이날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 위원장은 "스마트시티는 4차산업혁명 기술을 담아내는 플랫폼으로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며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가 성공적으로 구현되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에 따라 세종 5-1 생활권 스마트시티 기본구상안이 공개됐으며, 도시 전체를 기존 도시계획을 벗어나 주거(리빙), 소통(소셜), 공공(퍼블릭)으로만 구분하는 `용도지역 없는 도시(용도혼합 및 가변)`를 구성 체계로 사업이 진행된다.

혁신요소로는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와 환경, 거버넌스, 문화와 쇼핑, 일자리 7개가 선정됐다.

이중 모빌리티의 경우 공유자동차(카쉐어링)를 비롯해 드론 배송, 무인자동차 등 미래형 교통수단 구축을 통해 교통과밀,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할 방침이다.

헬스케어 부문은 드론을 활용한 응급지원시스템 구축, 무인패트롤과 스마트 보안시스템이 적용되며, 교육은 3D프린터와 로봇팔 등 메이커교육과 뇌발달주기에 따르는 교육환경이 조성된다.

에너지와 환경 요소에는 제로에너지빌딩, 자가 균열치유 콘크리트 건물, 광촉매 미세먼지 흡착 기술 등이 활용된 에너지 자립을 비롯해 스마트 물 순환관리시스템과 대중교통 전기·수소차 도입이 담긴 친환경 사업이 벌어진다.

거버넌스의 경우 여론조사와 민원창구 스마트앱을 활용한 즉각적인 여론수렴을 통한 대의 민주주의 도입, 도시설계와 건설에 시민참여 시스템 제공, 도시데이터 분석센터 등을 통한 효율행정과 정보관리가 이뤄진다.

문화와 쇼핑부문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스마트 결제·배송 시스템, 인공지능 쇼핑 도우미 등이 들어서며, 일자리는 KAIST 인재 유치와 구글과 아마존, 페이스북 해외기업 유치를 담은 스타트업-대기업 공생 계획이 추진된다.

손병석 국토부 1차관은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은 앞으로 민간기업과 시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발전시킬 출발점"이라며 "기본구상을 발전시켜 주체별 역할이 구체적으로 담긴 시행계획을 연내 마련토록 하겠다"고 말했다.정재훈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지정된 세종 5-1 생활권 공간구조 계획안.
자료=국토부 제공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지정된 세종 5-1 생활권 공간구조 계획안. 자료=국토부 제공

정재훈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