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이른 7월 폭염이 한반도를 가마솥처럼 뜨겁게 달구고 있다. 문제는 때이른 폭염이 열흘 가까이 이어지면서 온열 환자와 가축 폐사가 속출하는 등 피해가 사회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것. 이처럼 때이른 폭염의 원인 중 하나는 지구의 기온상승 때문인 것으로 지목되고 있다. 최근 지구 평균기온은 20세기 평균기온 14도보다 0.94도 높아졌다는 통계가 있다. 지구 평균기온이 상승하면서 폭염시기도 8월에서 7월로 한 달 앞당겨지고 있다. 지구의 기온상승이 지속적으로 폭염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견할 수 있는 대목이다. 세계보건기구도 21세기에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폭염을 지목했다. 이제 폭염을 여름철 불청객 정도로 가볍게 여겨서는 안된다는 얘기다.

`충북포커스` 최근호에 실린 자료에 따르면 폭염피해 비중이 높은 미국과 영국 등의 국가는 이미 도시계획과 연계한 구조적 폭염대책을 마련해 놓고 폭염에 대비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주거단지 곳곳에 보존녹지와 수변공간을 조성해 여름철 열섬현상을 저감시키고 있다. 또 계획적으로 조성한 녹지에서 불어오는 신선한 바람이 주거단지로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바람길을 만들어 도심의 열섬완화 효과를 높이고 있다. 미국 일부 도시는 도시 면적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건물 지붕을 도시열섬현상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이에 건물 지붕에 밝은 색의 소재나 특수 도장재를 사용해 태양열 반사율을 높여 건물 지붕의 온도를 낮추는 `그린 루프` 설치를 장려하고 있다. 시에서 발주하는 모든 사업에는 그린 루프를 우선 설치하도록 조례로 제정하기도 했다.

우리 정부도 폭염피해 대응을 위해 폭염 예·경보 시스템, 무더위 쉼터 등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 차원에서 열 환경 관리를 위한 도시구조의 개선 노력이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쪽방촌 등 취약지역에 대한 대응에도 한계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새로 조성하는 신도시에 도시계획 단계부터 녹지공간을 확보하고 바람길 조성 등을 염두에 두고 도시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또 조성된 도심에는 특수 도장재를 사용해 건물 지붕의 온도를 낮추는 `그린 루프` 도입도 고민해야 한다. 이미 검증된 외국의 폭염 대응 사례를 벤치마킹해 실효성 있고 체계화된 폭염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폭염 피해를 최소화하는 지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진로 지방부 청주주재 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