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교통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키로 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계획은 대중교통을 공공교통으로 바꾸자는 게 핵심이다. 시민들의 의식 변화 없이는 이 정책 도입취지는 의미가 없어 시민 의식 전환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입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2일 시에 따르면 대중교통을 공공교통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수립해 추진한다. 그간 대도시 교통정책을 총괄적으로 표현했던 `대중교통 중심도시`를 `공공교통 중심도시`로 바꾸겠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대중교통의 정의를 재정립하자는 취지로 분석된다. 현재의 교통은 민간회사의 시내버스뿐만 아니라, 도시철도 등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수단이 많다는 점에서 공공성이 부각돼야 한다. 시내버스뿐만 아니라 택시, 자전거, 보행자까지 모두 교통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를 통해 시내버스 노선과 준공영제, 도시철도 등의 인프라 공급 의무를 강화할 수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또 이를 이용하는 시민에게는 `권리`와 질서를 지킬 `책임`이 뒤따른다. 우선 무단횡단 금지, 신호등 준수, 불범 주·정차 금지 등 공공성을 위한 질서는 기본이다.

이로 인해 공공교통에 대한 정책적 우선순위를 높이고 투자를 확대할 수 있다는 점은 장점이다. 공공교통수단 전반의 대시민 서비스 향상과 인프라 확충을 통한 이용 접근성 및 편리성 증대, 준법 정신 함양은 운수종사자와 시민들의 의식을 고취시켜 교통사고 감소에도 도움을 얻을 수 있다. 공급자는 교통수단 간 최적의 환승체계 구축, 증차 등 편리성 증대와 교통약자를 위한 특별교통수단 확대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시는 공공교통에 대한 종합적인 정책을 수립키로 했다. 관련 교수와 교통학회 등 전문가들과 토의·검토 과정을 거쳐 충분한 논의와 진단을 통해 객관적인 결과물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계획은 시민 의식 변화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시민 의식전환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 역시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양승찬 시 교통건설국장은 "공공교통이란 개념이 자리잡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이용자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절차가 강화돼야 한다"며 "이용자가 정책을 만들고, 스스로 이를 지켜나가게 되면 결과적으로 서로 편리해지고 만족도 높은 교통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유럽 선진국들의 경우 공공성 의식 배양을 위해 어려서부터 정규 교과목으로 공공성 시민교육을 실시한다. 인권, 평등, 시민권 등의 가치를 현실적 사례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시민교육이 우리나라에도 필요하다"며 새로운 개념의 교통정책을 설명했다.

한편 시는 오는 26일 시청 3층 세미나실에서 한국교통연구원과 함께 `모두가 편리한 공공교통정책 도입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