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국회의원 대부분은 관용차나 운전기사 없이 자전거로 출퇴근을 한다. 프랑스는 일정기간 이상 출석하지 않으면 세비를 삭감한다.

벨기에는 본회의 투표에 참여하지 않으면 벌금을 내야 한다. 호주는 두 달 이상 본회의에 참석하지 않으면 의원직을 박탈당한다.

우리나라 국회의원과 달리 각종 특권과 권위주의적 관행과는 거리가 있어 보이는 선진국 국회의원들의 모습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6월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충북지역 광역·기초의원들이 기존 특권과 권위주의를 내려놓는 신선한 반란을 꿈꾸고 있어 눈길을 끈다.

11대 충북도의회 장선배 도의장의 `탈권위 행보`는 도민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다.

장 의장은 출·퇴근은 물론이고 주말, 휴일 행사장 방문 등 공식 업무를 볼 때도 대부분 자신의 승용차를 이용한다.

오후 6시 이후 공식, 비공식 만찬에도 관용차를 이용하지 않는다.

의회사무처가 의전 등의 문제를 들어 관용차를 이용하고 비서가 수행토록 해달라고 권하는 상황이다.

지난해 11월 취임한 이장섭 충북도 정무부지사도 자가용을 직접 운전해 출·퇴근한다.

근무시간 이후 만찬에도 충북도가 주관하는 행사가 아니면 관용차를 타지 않는다.

당연한 듯한 이들의 행보가 눈길을 끄는 것은 우리 사회에 권위주의적 관행이 얼마나 뿌리 깊게 박혀 있는지를 보여주는 듯해 씁쓸하다.

또 최근 청주시의회에 입성한 초선 의원들의 반란도 신선하다.

청주시의회 초선의원 5명이 `소규모 주민숙업사업비` 폐지를 스스로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이들 의원들은 최근 성명을 내 "시의원 1인당 5000만 원씩 배정하는 주민숙원사업은 주민들의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의견 수렴 과정 없이 추진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거부한다"고 밝혔다. 재량사업비는 자치단체들이 소규모 주민숙원 사업비 명목으로 예산을 편성해 배정하고 있지만 의원들이 재량껏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원 재량사업비`라고도 불린다.

이 사업비는 의원들이 지역구에 생색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의원들에게는 든든한 총알인 셈이다.

이 총알을 마다한 초선 의원들이 다선 의원들을 설득하고 동의를 얻어 낼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초선 의원들의 신선한 반란에 박수를 보낸다. 김진로 지방부 청주주재 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