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당진의 라돈 매트리스 사태가 좀처럼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한때 송악읍 고대 1리 주민들과 해체 합의로 타결의 청신호가 켜지는 듯 했지만 최근 인근 마을 주민과 학부모들의 강한 반발로 무산됐다. 지난 6월 라돈침대가 당진항에 기습 반입돼 물의를 빚은 지 2개월이 넘도록 실타래를 조금도 풀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적극적으로 사태 해결에 나서기는커녕 어물쩍 넘어가려다 사태를 키운 측면이 크다.

지난 15일자로 동부항만 야적장과의 임대계약이 만료된 대진침대가 해체를 강행하려는 의중을 내비치는 것도 사태 악화의 한 요인이다. 라돈 공포에 휩싸인 주민의 안전 따위야 아랑곳하지 않겠다는 오만한 태도다. 그런데도 사태 해결의 중심에 있어야 할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존재감은 보이지 않는다. 일각에서 올바르고 빠른 해결을 위한 시민대책위 구성을 제안하고 나온 상황이고 보면 사태가 더욱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주민들 사이에서 다소의 이견이 표출되고 있는 것도 걱정이다. 대안이 뚜렷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성이 담보된다면 가능한 빠른 시간 내 해체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적지 않은 모양이다. 안 그래도 현지 주민들은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추진 당시 찬반 논쟁으로 갈등을 겪으면서 후유증이 남아 있는 게 사실이다. 원안위와 대진침대가 무책임하게 대응하는 사이 불똥이 자칫 엉뚱한 곳으로 튈 수도 있게 생겼다.

관건은 진정성 있는 대화와 설득이다. 원안위와 대진침대는 "안전에 큰 문제가 없다"는 말만을 되풀이할 게 아니다. 주민들에게 사전에 안전에 대한 설명이나 동의를 구하지 않은 사실부터 사과하는 게 먼저다. 안전 보장이나 책임 있는 해체는 그 다음이다. 당진시가 적극 나서야 함도 물론이다. 주민 편에 서서 안전 보장을 전제로 원만한 합의가 이루어지도록 중재자 역할에 충실하기 바란다. 인체 유해성에 대한 우려를 불식하면서 주민들이 최선의 합의점을 찾도록 분위기를 만들어 나갈 일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