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인 공공 빅데이터를 창업으로 연계한 지원센터, `오픈스퀘어-D 대전`이 지난 17일 전국에서 제일 조그만 크기로 문을 열었다.

오죽 작았으면, 행사에 참여한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허태정 대전시장에게 "문중의 땅이라도 있으면 시원하게 내달라"고 까지 말했다.

공간이 크다고 능사는 아니지만 동네슈퍼보다 비좁은 151㎡ 크기의 센터를 만들었다고 2명의 장관과 대전시장, 공공기관장들이 와서 생색을 내는 것이 여간 궁색해 보일 수 없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개소식 자리마저 부족해 100여명이 넘는 참석자들이 선채로 우왕좌왕 했다.

전 세계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스마트시티,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센서기반 관리체계 도입 등 삶 전반을 바꿔나가고 있다.

대전시도 지난해 9월 대전지역을 4차 산업혁명 거점도시로 만들겠다고 천명하고, 무려 2조 8000억 원을 투입하는 16개 추진과제를 공개했다.

하지만 작금에 이르러서 추진과제 대부분은 타 지역에 우선순위를 뺏기고, 현재로선 추진 조차 가늠키 어려운 뜬구름 잡는 이야기가 돼버렸다.

추진과제 중 `세계 선도형 스마트시티`를 대전에 조성하겠다는 계획은 정부가 세종과 부산 2곳을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단지`로 지정하고 2조 4000억 원을 쏟아 붓기로 결정하며 한물갔다.

`스마트 교통도시 대전` 조성은 국토교통부가 서울 상암지역 `자율주행차 테스트베드` 구축을 비롯 경기 화성에 `자율주행차 실험도시 K-시티` 구축을 발표하며 헛물을 켠 격이 돼버렸다.

`미래 전략산업 기술창업 강국 실현 2000개 스타트업 육성`하겠다는 대전시 계획은 판교에 `한국형 실리콘밸리`를 조성하겠다는 1조 원 규모의 국가사업이 우선돼 난망하다.

4차 산업혁명 국제박람회 개최 또한 지난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에 출연연이 대거 불참하고,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은 단 1개도 심도 있게 다루지 못했던 점을 고려하면 끼워맞추기에 불과해 보였다.

`블록체인 거점센터 구축`은 대전시가 계획만 밝히고 감감무소식인 가운데 충북블록체인진흥센터 개소, 서울 블록체인 선도도시 구축, 부산 크립토밸리 금융특구 조성 등 타 지역은 속도를 내고 있다.

이정도면 대전을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 부르는 것이 과연 마땅할지, 2조 8000억 원은 도대체 어디에 쓰이고 있는지 의구심이 들 정도다.

4차 산업혁명 특별시라는 명칭이 헛구호에 그치지 않기 위해선 대전시의 뼈를 깎는 혁신이 절실한 때다.

<취재1부 정재훈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재훈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