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과 불의 노래' 30년 여류도예가 이숙인씨

담월 이숙인 여류도예가 모습. 사진=옥천군 제공
담월 이숙인 여류도예가 모습. 사진=옥천군 제공
충청 지역에는 30년 흙을 빚는 담월 이숙인(71) 여류도예가가 있다.

요즘 옥천 군북면 소정리 낮은 산자락에 자리잡은 옥천요(窯)는 장작패는 소리가 가득했다.

도자기를 구워 낼 소나무 땔감을 마련하는 소리다. 그 옆 작업장에는 변함없이 이 여사가 반죽된 흙을 물레에 놓고 성형작업을 하고있다.

그는 도예명장인 경상북도무형문화재 도천 천한봉 선생 제자다. 많은 제자 중에 세월이 흘러보니 어느덧 맏이가 됐다. 20대 후반 우연히 천 선생의 찻사발 하나를 선물로 받은 이 여사는 곧 바로 도예가 입문했다는 것.

처음 도예가로 자리잡은 곳은 대전 유성구 원내동이었다. 그곳에서 10년 정도 도자기를 빚어 온 그는 맑은 금강이 흐르는 이곳 옥천으로 터를 옮겨 옛 것 그대로의 방식대로 자기를 굽고 있다.

흙은 좋기로 소문난 경남 산청과 충남 태안 등지에서 직접 공수해 와 톳물을 받는다. 물에 잘게 빻은 흙을 넣고 저어주면 아래로 가라앉는 것이 진흙이고 그 위에 떠 있는 흙탕물이 톳물로 흙이 날아다니는 물이다. 이 톳물을 수없이 반복해서 체로 받쳐 내면 알갱이가 고르고 철분이 들어 있지 않은 고운입자가 모인다. 이것이 도자기의 원료가 된다.

반죽된 흙을 물레에 놓고 성형하는 것부터 초벌구이, 문양 넣기, 유약 바르기, 재벌구이 까지 전통 그대로의 방식대로 움직인다. 무엇보다 자랑스러운 작업은 전통장작가마를 이용해 자기를 굽는 일이다.

이 여사는 "화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가스나 전기 가마와 달리 장작가마는 온도, 바람 등 외부조건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지각색의 도자기들이 탄생한다"며 "이런 방식전통가마는 인근 보은, 영동, 대전을 둘러 봐도 이제는 찾아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그의 아들과 함께 도자기의 실용화에 애쓰고 있다. 전시장속에 갇혀 감상용에만 머무르는 예술작품에서 벗어나 차, 음식 등을 담아 손님을 맞이하는 그릇으로 활용되는 게 도자기의 역할이라고 그는 믿고 있다.

오는 5월에는 올해 두번째로 장작가마에 불을 붙일 예정이다. 한번 불을 붙이면 2000점 정도 도자기가 탄생한다.

이 도예가는 "도자기를 직접 빚고 가마로 굽는 체험은 할 수 없지만 옥천요 방문은 누구든 언제든 환영한다"고 말했다.

한편, 그는 지난 2002년 서울예술의 전당에서 스승인 천한봉 선생과의 사제간 전시회를 시작으로 지난해 대전 고트빈갤러리 모자전시회까지 19회 작품전시회를 가졌다. 2015년에는 경기도교육감이 인정한 중학교 2학년 미술교과서에 그의 이름과 작품 `연잎 5인 다기`가 실리기도 했다. 육종천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