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 21대 총선을 1년 남겨 둔 가운데 20대 국회에 입성한 충청 의원들의 지난 3년 의정활동 성적표에 대해 지역민들의 긍정 평가가 높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흐름이 지속되면 내년 총선 때 유권자들 심판 투표를 피해가기 어렵다. 개중엔 정치생명을 부지하는 인사들도 나오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표심에 의해 배척되는 운명에 처할 것임은 불문가지다.

총선에서 수성하는 입장의 현역 의원이 유리한 고지에 있는 것은 맞다. 대전· 세종 및 충남·북에 지역구를 둔 충청권 의원들도 출마를 전제로 이 기준에서 보면 다르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내년 총선에서도 그런 법칙 아닌 법칙이 통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먼저 충청 의원들은 여야를 불문하고 지역 현안과 관련해 `파이팅`을 보여주는 데 한계점을 노정했다. 그러다 보니 뭐 하나 뚜렷하게 진척된 사례를 찾기가 쉽지 않다. 정파·지역구 논리를 초월해 합심할 때는 하고 그러면서 자연스러운 경쟁구도를 연출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 온 것으로 진단된다. 상대적으로 `원팀` 의식이 부족한 결과로 볼 수 있고 그에 따라 변변한 실익을 챙기지를 못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행정안전부 특별교부금만 해도 지역별 누적 액수에서 확연히 차이가 난다. `1시·도 1예타 면제 사업 선정` 결과도 마찬가지다. 권역별 총액 비교에서 약세를 면치 못했고 더러는 1순위 신청사업이 퇴짜를 맞기도 했다. 설상가상으로 금강수계 보(洑) 해체 제안 발표가 나와 여론이 사나워졌고, 그런데도 충청 정치권과 다수 지역민의 이해관계 사이엔 거리감이 감지된다.

충청 의원들 역할론적 평균이 전국 평균을 밑도는 상황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 이는 결국 내년 선거에서 개별 의원들에 대한 지역구민들의 `재신임` 여부로 귀결될 수밖에 없을 듯하다. 이제 남은 임기 1년에 달렸다. 충청 의원들이 빈약한 점수를 만회한 후 생존을 도모하려거든 발 딛고 있는 지역의 집단정서부터 직시해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