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가 쉰두 번째 맞는 과학의 날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9일 열린 2019년 대한민국 과학축제 개막식 서면 축사를 통해 "훌륭한 과학자 한 명이 땅속에 매장된 유전보다 가치 있는 시대가 왔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국민이 과학기술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과학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렇다. 과학기술이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견인한 건 맞다. 아시아 최빈국이었던 대한민국을 반세기 만에 세계 11위 경제 대국으로 우뚝 서게 한 원천은 바로 과학기술의 힘이었다.

그렇다면 오늘의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현주소는 어떨까.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정책을 약속했던 문재인 정부가 3년 차로 접어들었지만 현재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을 위기 상황으로 진단하는 이들이 많다. 공공연구노조는 위기 원인을 과학기술 인사정책의 실패와 부처 간 협업 실패, 관료 독점적 정책 등을 꼽았다. 정작 사람 중심 과학기술 정책을 추진할 사람을 제대로 고르지 못하면서 표류하고 있다

특히나 1조 원이 넘는 규모의 연구개발 인력양성 사업은 10개 부처에 분산된 탓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대표적 사례다. 그나마 정부가 부처별로 나눠져 있는 연구개발 인력양성 사업구조를 단순화·체계화하기로 한 것은 다행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역할도 중요해졌다. 대덕특구는 지난 세월 동안 국내 과학기술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됐다는 점에 이의를 달 사람이 없다. 4차 산업혁명의 거점으로 대덕특구가 지정된 만큼 대한민국 혁신 성장을 이끌어갈 세계적인 혁신클러스터를 구축하는 일도 과제로 남았다. 4년 후면 연구단지 출범 50주년을 맞는 대덕특구로선 재도약을 위한 발판이 마련돼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중심축이 돼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는 위기의 과학기술을 되살려 변화를 기대했던 대다수 국민과 현장 연구자들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할 때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