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차관급 인사 9명 명단에 충청 출신은 1명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혹자는 정무직으로 올라갈 만한 지역 인재 풀 빈곤을 원인으로 꼽기도 하지만 그런 시각에 얼마나 동의할지 의문이다. 이번 차관급 인사 때만 그런 게 아니다. 앞선 청와대 비서관 인사에서도 지역 연고 인사가 발탁됐다는 소리를 듣지 못했다. 지난 3월 초 집권 2기 중폭 개각을 단행했을 때도 충청권은 입맛을 다셨다.

청와대 및 장·차관 인사에서 충청 출신이 `논외` 취급 당하는 것은 불가사의다. 인재라는 게 고루 등용하다 보면 어느 정도 지역별로 구색이 맞춰지곤 한다. 또 인사 검증·추천 과정에서 출신 지역 사정도 감안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웬만해선 소외론이나 홀대론이 고개를 들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문제는 충청권 사정을 보면 꼭 그렇지 만도 않다는 점에 있다. 현재 장관 숫자만 해도 충청권 4개 시·도를 통틀어 1명뿐인데 매우 이례적인 상황으로 여겨진다. 장관 1명에다 장관급 자리에도 지역 인사는 사실상 실종 상태다. 출신지 경합에서 힘을 쓰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고, 한편 생각하면 현 정부에서 충청권이 차지하는 `정치적 지분`의 허약성에 따른 귀결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두어 번은 그러려니 넘어갈 수 있으나 유사한 양태가 거듭되면 충청권 실망감도 증폭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인사 문제를 넘어 지역 발전과 직결된 정책 현안 관련해서도 충청권 스트레스가 이만 저만이 아니다. 청와대도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고위직 인사 때마다 적재적소, 전문성 등을 강조하는 것은 좋지만 그게 특정지역에 주변부 인식을 심어줘선 안된다.

이를 두고 한국당 대전시당은 어제 성명에서 `충청 패싱`을 넘어 `충청 낫싱`이라고 비난했다. 표현에 부분적으로 과장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지역민 정서와 일정 정도 겹치는 것도 사실이다. 지금처럼 충청권 `등잔 밑 여론`을 도외시하면 필시 낭패를 볼지 모른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