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공공적 가치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특히 많은 시민들이 효율적으로 문화적 생산과 소비에 참여를 원하고 있다. 이에 필요한 문화 인프라 구축도 필수가 되고 있다. 문화계의 한 인사는 문화를 `휴먼 인프라 비즈니스`라고 까지 정의하고 있다. 그만큼 질 좋은 문화를 향유하기 위해서는 인프라가 꼭 필요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아쉽게도 수도권에 비해 지방은 문화 인프라가 열악하다 못해 불모지 수준이다. 충주시도 마찬가지다. 인구는 20만 명이 넘지만 제대로 된 공연장 하나 갖추지 못하고 있다.

1985년 지은 충주문화회관은 낙후된 시설로 품격 있는 공연은 커녕 단순한 문화공연도 힘든 지경에 이르렀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시민들이 공연을 보기 위해 서울 뿐 아니라 몇 해 전 예술의 전당을 신축한 경북 안동으로 까지 공연을 보러 가는 `문화난민` 신세로 전락하고 있다. 여기에 공연시설이 없다 보니 지역 내 예술가들의 기획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공연장을 토대로 공연을 기획해야 하지만 음향과 무대, 조명 등이 열악한 현재의 충주문화회관 수준으로는 의욕조차 나질 않는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어떤 이들은 임시방편으로 리모델링을 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지만 현재 문화회관은 문화재보호구역에 있어 기술적 어려움으로 리모델링을 불가능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임시방편이 아니라 근본적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모를 리 없는 충주시도 충주 예술의 전당(가칭) 건립을 추진하고 있고 현재 6월 말로 예정된 행정안전부 중앙투자심사 결과를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다. 정부의 심사를 통과해야만 예술의 전당 신축에 한발짝 나갈 수 있다.

앞서도 얘기했듯이 수도권과 지방의 인구와 경제적 격차가 문화에 까지 미치고 있다. 정부가 경제적 논리로만 문화를 이해한다면 그것은 문화말살정책과 다름이 없다. 또 문화는 삶의 질과도 연결돼 있다. 수도권이든 지방이든 모든 국민들은 공정하고 평등하게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야 한다. 이것이 충주 예술의 전당 신축이 필요한 가장 근본적인 이유다. 정부도 문화를 문화답게 바라봐 주길 바란다. 진광호 지방부 충주주재 차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