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 특구 전경
대덕연구개발 특구 전경
한일 무역전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지역 산·학·연 협력모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최근 대학, 출연연 등이 각각 대응책을 내놓는 상황에서 협업을 통해 상승효과를 내야 한다는 것이다.

15일 지역 대학, 대덕특구 출연연 등에 따르면 일본 수출 규제에 대한 각 기관별 대응책이 마련되고 있는 시점에서 과학기술역량을 가진 모든 기관의 협업을 통한 통합적·전략적 대응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은 지난 13일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해 소재부품장비산업 기술지원단 운영, 실증 테스트베드 및 시뮬레이션 총괄지원 등을 골자로 한 출연연 대응전략을 발표했다. 이에 앞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도 지나 5일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KAMP)을 설치, 첨단소재분과, 기계항공분과 등 5개 분과별 자문활동을 진행 중이다.

국가 경제가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이러한 움직임은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지만 제각기 마련된 대응책으로 인해 연계성이 떨어져 원천기술 개발 및 국산화를 위한 전략적 추동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대학 산학협력단을 중심으로 한 전략 소재·부품 기술자문단, 출연연 기관 간 대응책 등만 논의되고 있을 뿐 출연연-지역대학 간 구체적인 대책이나 실행계획은 아직 없는 것이다. 지난 14일 진행된 대전권 대학총장 긴급간담회 관계자는 "출연연과 KAIST 등이 대응책을 발표하고 실행에 옮기고 있지만 각자 가진 인프라에 따라 역할과 강점도 다르다"며 "때문에 협업에 대한 전략적 고려가 없다면 낭비요소가 많고 그 성과도 담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 수출규제에 맞선 대응책의 성공은 협업이 가능한가 아닌가에 달렸다. 지역대학과 출연연, 중소기업 협업모델을 구축해야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학과 출연연, 강소기업이 가지고 있는 인프라가 다르기 때문에 협업모델을 구축했을 때 수행할 수 있는 역할도 차별화돼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대학 한 관계자는 "대학은 출연연에 비해 연구규모가 작고 장비도 부족하지만, 연구가 교수중심으로 돌아가며 석·박사과정 등 다수의 대학원생들이 보조하기 때문에 기민한 연구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 출연연 관계자는 "출연연의 경우 최첨단 기술과 장비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 등에 장비를 제공하고 기술자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지역 대학, 대덕특구 내 출연연, 지역 중소기업, 지자체 등은 논의를 통해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통합적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긴급간담회 관계자는 "이번 달 말 지역대학 총장, 출연연 원장, 중소기업 대표, 지자체 관계자 등이 포함된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산·학·연 모두가 참여하는 협업 모델을 구축해 현 상황을 돌파해나갈 전략과 실행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주재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