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고공행진에 청와대 발언까지 겹쳐 주목

[연합뉴스]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 임기가 절반을 넘어선 가운데 이낙연 총리의 정계복귀설에 정·관계가 술렁이고 있다.

차기 총선 전면에 내세울 마땅한 대선주자가 없는 민주당 내에서도 이 총리의 복귀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특히 이 총리가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데다 호남과 중도층까지 아우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점에서 당으로의 복귀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깔려있다.

이와 관련, 이 총리는 스스로도 자신의 거취에 대해 "당청과 조율해서 결정할 문제"라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는 임명권자인 문 대통령과 여당인 민주당간 `합의`가 이뤄지는 것이 먼저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하지만, 정치권에서 이 총리를 지지하는 세력이 비교적 탄탄하지 못하다는 것이 고민이다. 대선주자의 경우, `총선을 거쳐 정치권에 입문한 후 입지다지기`가 필수코스라는 공식이 있기 때문이다.

이 총리의 정계복귀는 비단 자신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현 정권의 고민과 맞물려 있다.

공직자 선거법상 내년 1월 16일 이전 총리거취가 결정되어야 하고, 후보자 인선과 차기 총리 내정 등을 감안한다면 늦어도 올 연말까지는 로드맵이 짜여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조국 전 장관의 사례처럼 검증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총선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야당의 공세와 여론 등 적지 않은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여기에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현 장관들이 차출될 경우, 개각 폭이 예상 외로 커 질 수 있다는 것도 문 대통령과 청와대의 고민거리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면서 정부세종청사 또한 어수선한 분위기다.

역대 최장수 총리 기록을 경신한 이 총리가 물러나면 현역 국회의원 신분으로 입각한 장관들 또한 거취 결정 또한 개각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이 교체 1순위로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총 7명에 이르는 정치계 출신 장관들의 거취 또한 주목대상이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세종청사 공무원 A씨는 "장관급 인사 이후 실·국별 업무보고 준비에만 보름 이상 걸리는데다 차관급 인사 등 후속 인사가 이어질 경우 업무집중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며 "소속 공무원들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매번 수장들이 바뀐다는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고 토로했다. 장중식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중식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