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선 복선전철의 `서울 직결` 대안 노선 마련을 위한 충남도의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다. 최근 천안에서 정책자문회의를 열어 대안 노선별 주요 검토 사항과 국가 철도사업 정책 등에 대한 정보를 자문위원들과 공유하고 나선 것도 그 연장선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서해선 직결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정부 당국과 상대할 때 대등한 힘의 균형을 잃지 않으려는 심산도 읽혀진다. 일종의 수(數)싸움 면에서 또 다른 기회가 될 수 있는 이유다.

충남도의 서해선 직결 대안 노선 검토 작업은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신안산선과의 직결 문제가 여의치 않게 된 현실과 무관치 않다. 서해선 철도 차량과 신안산선 철도 차량의 속도 격차로 인한 시설 규모, 운영방식 등에서 차이가 난다면 여기에만 매달리는 게 옳다고 보기는 어려워졌다. 바로 이 지점에서 비롯된 고민의 산물이 대안 노선 도출을 전제로 한 연구 용역 추진이며, 이에 아이디어와 지혜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충남도는 관련 분야 전문가 집단의 정책자문단을 꾸린 것으로 보면 맞다. 서해선 건설의 본래적 정책 목표는 충남 홍성과 여의도 간 1시간대 주파로 압축된다. 대안 노선 모색도 이 가치에서 출발하며 훼손되어 질 수 없음은 물론이다. 앞으로 도출될 최적 대안 선정은 이 명제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는 자문위원들이 "수요와 편익, 경제성(B/C)분석이 선행돼야 한다"고 조언한 대목과도 맥을 같이 한다. 자문위원들이 여객 운행은 물론 화물·물류, 남북 연결철도 등 정책적 측면에 대한 다원적 검토를 지적한 것도 시사적이다. 서해선 서울 직결 논리가 더욱 강고화해질 수 있어서다.

홍성-경기 송산 90km를 잇는 서해선 공정율은 현재 55%이며 2022년 완공목표다. 이 일정에 맞춰 늦지 않게 서해선 직결 대안 노선을 제시할 일이다. 그러면서 서해선 직결 최적안의 경우 서울과의 물리적 연결논리를 초월하는 핵심가치들의 `교직(交織)`이어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