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재현 기자
주재현 기자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난달 28일 공정성 강화를 골자로 하는 대입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하며 "교육현장이 안정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학교현장과 소통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교육계에서는 이번 대입제도 개선안에 교육현장의 목소리가 빠졌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학생들은 당장 2022학년도부터 소논문, 진로희망분야와 관련된 자료는 제출할 수 없으며, 2024학년도에는 수상경력, 개인봉사활동실적, 자율동아리, 독서활동 등 내용이 제외된다. 기존에 대입을 목표로 개인의 관심분야 활동과 학습을 꾸준히 이어나가던 것과 다르게 이제는 수능과 내신성적에만 몰두해야 한다.

일선 고등학교 관계자들은 이번 개선안이 학생들의 비교과 관련 활동을 막고 국어·영어·수학 등 주요과목만 살리는, 이른바 `죽어있는 교육`으로의 역행을 앞당길 것이라고 말한다. 한 고등학교 관계자는 "학생들의 활동을 교과 안에 가둬버리는 대입 개선안은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역량을 갖춘 융합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정부방침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그동안 활성화됐던 교내 활동의 대부분을 할 수 없게 됐다"고 토로했다.

대입개선안은 교사들의 교육권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교사는 이미 업무가 과다한 상황에서 학생부 기록 및 평가에 집중해야 해 정작 심혈을 기울여야 할 교육방법, 학생 지도에 들이는 시간을 빼앗기게 된다. 결국 교실에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활동이 아닌 내신과 수능을 위한 `효율성` 교육만이 남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마저도 강의효율성, 입시전문성이 뛰어난 입시학원에 밀릴 경우 학교는 학생들을 (수업시간에) 재우고, 밥 먹이는 보육기관으로 전락하게 된다. 동시에 입시 공부 이외의 자신의 적성과 특기를 찾고 진로를 개발해나가려 노력했던 학생들도 모습을 감출 것이다.

이들의 불만을 외면한 채 공정성 하나만을 바라보는 대입개선안은 환영 받을 수 없다. 학생들의 개성과 교육현장의 다양성 침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공정성보다 더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주재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주재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