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우 기자
임용우 기자
세종지역의 대학 유치 성과를 두고 많은 회의적 시각이 많다. 도시 출범 7년째를 맞았음에도 가시적인 성과가 없기 때문이다.

전국 200여개 대학들이 사활을 걸고 있는 것은 자신들만이 가진 특·장점을 살려 신입생을 유치하는 것으로 모아진다. 동시에 대학 설립과 함께 유동인구는 물론, 지역상권에 미치는 소비유발 효과가 많은 교육기관이라는 점에서 기대 또한 높다.

대부분의 대학을 보면 인근 지역이 학생을 상대로 한 상권과 주거촌이 조성된다.

대전의 궁동, 충북 청주의 사창동 등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는 것만 보더라도 파급효과는 상상 이상이다.

세종은 대학 예정부지는 4생활권이다. 대학과 연구기관 등의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한 적지로 평가된다.

이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세종시청 등이 우수 대학을 유치하기 위해 고군분투를 벌이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유치 전략은 우수대학에만 과도하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탈리아의 산타체칠리아 국립음악원, 서울대 행정대학원 등 유수의 교육기관들을 그 대상이나 정해진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지방대에서 세종 입주를 자청해도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이 같은 흐름 속에 세종의 환경을 고려한 대학 유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세종시는 지난 7월 자율주행특구로 지정되며 관련 대학과 기업, 연구기관들이 자리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가 마련됐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대학에서는 서울대, KAIST, 국민대 등이 자율주행차의 가장 선두주자로 꼽힌다. 이밖에도 고려대, 인근의 충북대 등도 자율주행차에 대한 연구가 한창이다.

대학들은 자율주행차 시험주행 장소가 없어 애를 먹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측면에서 세종의 우수한 환경이 이들을 유인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특히 규제에 자유로운 것도 무기다.

행복청은 내년 7-8월 공동캠퍼스 부지에 입주할 대학을 공모할 계획이다. 산업계와 학계와 연구 분야의 협력이 요구되는 가운데 특단의 전략과 실행계획이 필요하다. 해마다 반복되는 유치실패에 대한 아쉬움만 삼키는 것보다 현재 가진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대학 유치전략을 먼저 생각해 볼 때다.임용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용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