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위원 곽상훈
논설위원 곽상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으로 지구촌이 초비상이다. 지난해 말 중국 우한(武漢)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낸 신종 코로나가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확진 환자가 계속해서 나오는 우리나라도 불안이 확대되면서 공포를 넘어선 느낌이다. 언제까지 신종 코로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점이 불안을 더 키우고 있다.

확진 환자가 줄지 않고 느는 게 걱정이다. 지역사회 전파가 임박한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확진 환자가 28명에 이르면서 추가 발병 가능성이 있는 접촉자도 1000여 명을 훌쩍 넘기면서 이런 우려를 키운다. 경증환자를 통해 감염이 확산되면 지역사회에서의 전파 규모는 커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환자 격리, 진단, 치료와 입원환자를 관리할 수 있는 병상과 의료 인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메르스 사태처럼 응급실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병원 감염도 장담할 수 없는 노릇이다. 감염병 전문병원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우리는 38명의 사망자를 낸 메르스 사태를 겪으면서 공공의료체계의 개선이 요구됐지만 그대로다. 대표적인 게 감염 질병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감염병 전문병원 설치가 그렇다. 메르스를 접하면서 전국 5개 권역에 권역 당 50 병상 규모의 전문병원을 설립키로 했지만 5년째 감감무소식이다. 대신 서울과 광주 두 곳만 전문병원을 지정해 운영하면서 의료서비스의 불균형이 일고 있다. 감염병 전문병원은 1 병실 1 병상을 기준으로 36개 이상의 음압격리병상과 음압수술실 2개를 갖춰야 하고, 음압격리병상 20% 이상을 대기 병상으로 두고 감염병 환자 발생 시 즉시 입원 및 의료인의 현장대응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가 확산되면서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이 더욱 절실해진 상황이다. 이제라도 전문병원을 세워 감염 질병관리 체계를 획기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충청지역(중부권)도 예외일 수는 없다. 신종 코로나에 선제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것도 따지고 보면 감염병 확산 방지와 집중관리를 위한 전문병원이 없는 탓이 크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중부권 감염병 전문병원을 대전의료원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엔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대전의료원을 지어 감염병 전문병원 기능을 하도록 하면 획기적인 의료서비스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란 점에서다. 정부로서도 두 사안을 연계할 경우 별도로 중부권에 전문병원을 건립하지 않아도 되는 등 예산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점도 설립에 힘이 실린다. 감염병 전문병원과 연계한 대전의료원 설립의 당위성을 알릴 절호의 기회란 뜻이다.

대전의료원은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설립 비용 대비 편익 비율이 기준치보다 낮게 나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나 동력을 잃은 상태다. 대전의료원이나 감염병 전문병원 모두 문재인 대통령 공약이란 점도 전문병원 설립에 긍정 신호로 작용하는 만큼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 할 때다. 4·15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도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공약을 내놓고 있는 점도 대전의료원 설립에 좋은 징조임엔 틀림이 없다. 감염병 전문병원 충청권 유치는 곧 대전의료원 설립으로 귀결될 수 있도록 지역의 역량을 모아 신종 감염병 관리와 환자를 적기에 체계적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전은 광역자치단체 중 의료원이 없는 유일한 곳이다. 신종 코로나 같은 감염병이 발생해도 이를 집중 치료, 관리할 수 있는 공공의료기관이 없다 보니 시민들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촘촘한 질병관리체계를 구축하는 일은 대전의료원 같은 공공의료기관을 지어 감염병 전문병원의 기능을 부여해 대처해야 한다. 그래야 지역 간 의료서비스의 불균형도 해소할 수 있다. 일거양득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