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학 한 달여 남은 상황에서 코로나19 대처 유학생 기숙사 격리 여부 고심중

[연합뉴스]
[연합뉴스]
대전지역 대학들의 개강시기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학들이 중국인 유학생들의 기숙사 격리를 두고 진땀을 빼고 있다.

대학별로 기숙사 격리를 결정했거나 수용 여부를 검토 중인데 기숙사 방역은 물론, 수용인원 파악, 수용기준, 생활폐기물 처리 등 세부적인 지침을 마련하는데 고심하고 있다.

13일 대전시, 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대전 내 중국인 유학생(어학연수, 대학, 대학원, 기타 포함)은 총 3991명으로 이중 중국체류는 3016명, 국내 거주는 975명으로 파악된다. 중국에 체류한 학생 비중만 75.5%에 달한다.

지역 대학들은 중국인 유학생 복귀시점이 가까워지면서 대처에 분주하다. 복귀 시점은 이달 말쯤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전지역 대학은 교육부 권고에 따라 개강을 2주씩 연기, 내달 16일부터 신학기를 시작한다.

대학은 우선 중국인 유학생의 기숙사 격리를 택하고 있다. 교내 기숙사 중 한 동을 지정해 격리시설로 두는 방식이다. 충남 아산, 충북 진천 격리시설처럼 1인 1실로 운영되며 식사는 도시락으로, 생활필수품도 제공된다.

하지만 기숙사 격리 또한 학생별로 중국 체류 여부를 파악해야 하고, 중국인 유학생 모두를 수용할지 등 수용 기준을 마련하기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기존 기숙사에 입실한 재학생들의 반감이나 시시각각 변동되는 귀국여부, 신입생의 경우 등록금 납부 여부도 따져봐야 한다. 기숙사에 격리돼 생활하는 기간 중 배출할 생활폐기물 처리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대전의 한 대학 관계자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복귀가 가시화되면서 지역 대학들이 대처 방안 마련에 분주해지고 있다. 수용기준이나 여부를 결정짓기가 마뜩지 않은 상황"이라며 "일부 대학은 수용할 공간이 없어 개강시점이 다가올수록 초조함만 늘고 있다. 정부, 지방자치단체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학들은 각기 대처에 나서고 있다. 목원대는 오는 24일부터 한국에 있는 학생을 제외하면 신입생, 재학생 등 122명이 기숙사에 입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00여 명 수용이 가능한 기숙사 1개 관을 격리시설로 결정하고 준비에 나서고 있다.

한남대는 외국인 기숙사에 내달 2일부터 중국인 유학생을 수용할 예정이다. 300명 정도 수용 가능한 시설로 200명 미만의 학생이 입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전대도 기숙사 한 동을 확보해놓고, 파악되는 수용인원에 따라 추가적으로 기숙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배재대는 기숙사 4동 중 1동을 격리시설로 운영하기로 가닥을 잡았으나, 기존 기숙사 입사생들과의 논의 등 수용 여부를 검토 중이다.

충남대는 변동이 될 수 있지만, 중국인 유학생 650여 명 중 중국에 방문한 학생을 441명으로 파악하고 있다. 먼저 복귀한 학생 124명은 자가격리 중이며, 이달 말까지 143명이, 내달 이후 43명이 복귀할 예정이다. 나머지 131명은 아직 귀국 여부가 파악되지 않은 상태로, 기숙사 시설 중 특별관리동을 지정해 우선 29명을 오는 26일까지 수용할 방침이다. 한밭대는 중국인 유학생 96명 중 23명이 한국에 잔류했으며, 나머지 학생들은 이달 말부터 구 학생생활관을 활용해 격리를 시킬 예정이다.

가장 많은 중국인 유학생을 보유한 우송대는 아직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한 상태다. 중국인 유학생만 1164명으로 현재 기숙사를 모두 격리시설로 지정하려면 타국 유학생과 재학생들이 기숙사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재 891명이 출국 상태인데 우송대는 지속적으로 입국 여부를 확인 중이다.

우송대 관계자는 "기숙사 신청한 인원만 수백 명에 달해 1인 1실 배정도 힘든 상황이다"라며 "지자체, 정부에 도움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도 손을 걷어 부쳤다. 대학의 어려움을 대비하고자 정부-지자체-보건당국 간 공동관리방안을 마련해 지자체에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대학에서 기숙사 등 수용 능력이 한계에 부딪힐 경우 지자체 소속 숙박 가능시설을 중국 입국 유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

유은혜 부총리는 "지자체는 유학생들의 건강을 보호하고, 지역 감염 차단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대학과 지자체, 교육부가 협조해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방안을 함께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대욱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