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실패 예방 전략

`어쩌다 사장`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대한민국은 창업 열풍에 빠졌다. 누구나 대박을 꿈꾸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철저한 준비 없이 너도나도 창업에 뛰어들면서 창업 전선은 `레드오션(경쟁이 치열해 성공하기 힘든 시장)`으로 치닫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에서 한 해 새로 생기는 기업은 80만 개가 넘는다. 이중 절반 이상이 2년을 넘기지 못하고 간판을 내리고 있다. 개인사업자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자본력을 갖춘 기업 형태의 창업 생존율과 비교해 처참한 수준이다.

관련 통계를 보면 2015년 창업한 개인 사업자는 107만 명에 달하지만 폐업자는 74만 명으로 나타났다. 생존율로 따지면 30%가 살짝 넘는 수준이다.

대전을 포함한 충청권 영세 소상공인들도 벼랑 끝에 서 있다. 앞 다퉈 창업전선에 뛰어든 `초보 사장` 뿐만 아니라 골목 상권을 지키는 터줏대감격 상인들도 고달픔을 호소하고 있다.

충청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대전 자영업자 수는 14만 2000명으로 지난해보다 4000여 명 줄었다.

폐업이 아니더라도 문을 닫거나 일을 쉬는 자영업자가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세청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대전의 자영업자 폐업률은 11.6%로 광주와 울산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다.

충남은 11.1%, 충북은 11.0%로 나타났다. 충청권 시·도 대부분 전국 평균 자영업자 폐업률인 11%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자영업의 다수를 차지하는 음식, 숙박, 도·소매로 한정하면 전국 폐업자 23만 5127명 중 충청권에서만 2만 3872명이 가게 문을 닫았다.

전국 전체 자영업 폐업 사례의 10%가 충청권에 집중된 셈이다. 창업 실패의 가장 치명적인 위기 요인으로 꼽히는 과당경쟁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내놓은 `2019년 식품외식산업 주요통계`에 따르면 음식점업 전국 사업체수는 2017년 69만 2000개로 전년대비 2.5%, 2007년 대비 19% 증가했다.

경기 침체에 출혈 경쟁까지 이중고에 내몰리고 있는 형국이다. 전문가들은 창업 실패의 가장 큰 요인을 동기와 준비성 부족으로 꼽는다.

`할 게 없어서 장사 한다`는 막연한 마인드 보다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치열한 경쟁에 단가를 낮추는 싸움을 하면 마진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매출은 높지만 마진율이 떨어져 박리다매를 하게 되고, 치솟는 인건비와 재료비 때문에 매출이 많아도 수익을 못 가져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이런 상황이 장기화되면 폐업을 고민하게 된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자영업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외식분야를 준비할 때는 업종 난이도와 노동 강도를 살펴야 한다.

생소한 아이템은 상당 기간 적응이 필요해 초기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다. 지속 가능한 아이템인지에 대한 물음표도 필요하다.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아이템과 상권 영향을 최소로 받는 안정적인 아이템이 필요하다. 높은 매출이 아니더라도 매출 대비 순이익률을 단계적으로 따져보는 것도 중요하다.

그래도 답을 구하기 어렵다면 신규 창업을 돕는 정부 기관을 적극 활용해 봄직하다. 정부는 올해 자영업자의 숨통을 틔우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예산을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보다 4113억 원 늘어난 2조 4956억 원 규모의 `2020년 소상공인 지원 사업`을 통합공고했다. 정책자금 융자와 창업 교육, 판로 지원, 재기 지원 등이 포함됐다.

안정적인 폐업과 취업을 돕는 리턴 패키지 사업(345억 원), 비과밀·틈새 업종으로 전환 교육을 지원하는 재창업 패키지 사업(75억 원) 등도 추진된다.

중기부의 세대융합 창업캠퍼스 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기술력과 경력, 네트워크를 보유한 퇴직 인력과 잠재력이 큰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을 매칭해 최대 1억 원을 지원해준다.

직접 경영에 참여하는 대신 창업 초기 스타트업에 지분을 투자하는 방안도 대안이 될 수 있다.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