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대전 원도심 활성화 해법은] 上.원도심 낙후 실태

◇글 싣는 순서- 上.원도심 낙후 실태 中.중앙로 프로젝트 下.원도심 개발 과제

대전 지역 원도심을 재건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원도심은 둔산신시가지 개발에 밀려 지난 30년 동안 심각한 상권 황폐화, 정주 여건 악화 문제를 겪고있기 때문이다. 원도심 지역 황폐화에 따라 지역 상인과 시민의 고통이 가중되는 만큼, 시의 조속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8일 대전시와 대전세종연구원에 따르면 동구 중앙동, 중구 대흥·은행선화동 일원의 원도심은 대전역 건설에 따라 형성됐다. 1905년 경부선 대전역이 개통되면서 역을 중심으로 거주지가 형성된 이후 본격적인 도시확산이 진행된 것. 이후 충남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넘어오면서 원도심 지역은 인구와 산업이 급격히 발달하는 등 지역 중심지로 부상했다. 원도심에 상권이 발달하며 각종 특화거리가 조성되기도 했는데, 많게는 400개의 점포가 밀집한 인쇄거리를 비롯해 한복·한의약·공구·건설·건어물 거리 등이 도심 골목마다 들어섰다.

하지만 시가 서구 둔산에 신시가지를 개발하면서 원도심은 황폐화 되기 시작했다. 신시가지 개발에 따라 1993년 시 교육청이 둔산 신도심으로 이전했고 1995년에는 상공회의소가, 1998년에는 법원과 검찰청이 서구로 이전했다. 1999년에는 대전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시청이 둔산 신도심으로 빠져나갔다.

주요 공공기관이 신시가지로 이전하며 원도심 상업시설은 초토화됐다. 대전세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시청사 이전 당시인 1999년 중구의 공실률은 21.4%를 기록했다. 또 한국감정원이 조사한 지역 원도심의 `소규모 매장용 상가` 공실률은 2015년 4분기 11.2%에서 2018년 4분기 16.2%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시 평균 공실률은 10.5%에서 7.4%로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과거 지역을 대표하던 원도심 특화거리들은 현재 찾는 손님이 거의 없어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상권 붕괴에 따른 도심공동화 현상이 발생하며 원도심 곳곳에 방치된 빈집도 생겨났다. 올해 1월 시가 조사한 지역 빈집은 총 3858가구로 그 중 동구는 1078호, 중구는 872 가구다. 동·중구에 위치한 빈집은 전체의 54%다. 우범지대로 전락할 우려가 있는 빈집 절반이 원도심에서 발생한 셈이다.

시는 사업비 2조 6000억 원 규모의 `중앙로프로젝트`를 통해 원도심 재건에 나설 방침이다. 이 사업은 2015년 국토교통부의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공모사업에 선정됐으며, 원도심 기반 사업인 인쇄출판업과 신성장산업인 뷰티케어·웹툰 산업을 육성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시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대전을 `메가 이벤트` 도시로 만들겠다. 원도심 전체를 재건하는 사업인 만큼 장소를 중심으로 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천재상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천재상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