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 BRT 연결도로인 장대교차로의 입체화 건설을 촉구하는 여론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지난 17일 대전·세종·충남 12개 경제단체와 대전시개발위가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장대교차로 입체화를 주장한 게 상징적이다. 3개 시·도 경제단체들이 한 목소리를 냈다는 것은 사안을 그만큼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징표다. "장래에 통행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전·세종 길목의 장대교차로를 평면 방식이 아닌 입체 방식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이들 경제 단체 지적은 시민적 눈높이와 다르지 않다고 봐야 한다.

여론은 물이 낮은 곳으로 흘러가는 이치와 다르지 않다. 장대교차로 건설 방식 논란도 이와 마찬가지다. 그동안 그런가보다 했지만 지금은 과거와는 온도차가 커지는 양상이다. 행정적 절차 논리를 떠나 상식적으로 접근했을 때 장대교차로는 평면 건설보다 입체 건설로 가야 비교우위의 편익이 따를 것이라는 판단을 내리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대전시는 설계용역 변경이 끝난 데다 공사 발주까지 한 마당이라 도리 없다는 식의 입장에 머물러 있다. 다수의 공론이 입체화를 가리키고 있는 데 반해 현상 변경을 불가능의 영역으로 간주하고 있는 대전시 태도가 합당하지 묻지 않을 수 없게 한다. 더구나 행복도시건설청이 대전시 제안을 전제로 검토해볼 의향을 내비치기도 했다. 시민들의 입체화 여론이 상당한 수위에 이르자 어쨌든 무슨 수를 찾아보자는 나온 셈이다. 그런데도 대전시는 귀를 막고 있는 것인지 평면방식 마케팅에 집착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럴 때는 장대교차로 건설 방식과 관련한 `이해당사자` 격으로 볼 수 있는 시민사회가 움직여주는 게 필요하다 할 것이다. 장대교차로는 시민의 교통서비스 관련 공공재다. 이에 투입되는 재원도 국비, 지방비 불문하고 시민세금으로 충당되는 것이고 그렇다면 할 말은 하는 게 깨어있는 시민다운 자세다. 이미 시·도 경제단체들이 나섰듯이 지역의 시민사회단체, 기초·광역의회들도 주저말고 나서야 한다. 어떻게 보면 장대교차로 입체화 변경은 고난도 갈등사안이라 할 것도 없다. 추가 재원이 발생하는 정도며 대전시가 기재부·행정도시청을 상대로 협상의 묘를 발휘하면 `착한 결론`에 도달하는 것은 시간문제 아니겠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