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 동안 네 차례에 걸쳐 민간공모로 추진해온 대전 유성복합터미널 건립계획이 모두 무산된 것에 대해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가 유감을 표하면서 사업 정상화를 위한 최적의 대안 찾기에 돌입했다. 두 기관은 민간 재공모, 재정을 투입하는 공영개발 등 사업방식을 특정하기엔 아직 이르다며 사업의 최종 실현가능성을 두루 살펴본 뒤 10월 중 정상화 방안을 확정짓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장시득 대전도시공사 사업이사는 21일 시청 기자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오늘자로 민간사업자 측에 유성복합여객터미널 사업협약 해지를 통보했다"며 "시민 숙원인 유성복합터미널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지 못한 점, 사업시행자로서 총체적인 책임을 통감하고 거듭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한선희 대전시 교통건설국장도 "유성복합터미널 4차 공모가 무산돼 매우 유감"이라며 "시가 의지를 갖고 적극 개입해 빠른 시일 내 최적의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8일 유성복합터미널 사업시행자인 도시공사는 민간사업자 케이피아이에이치(KPIH)와 체결했던 `유성복합여객터미널 사업협약`을 해지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지난 6월 양측이 체결한 변경된 사업협약에 따라 KPIH가 이날까지 사업 추진을 위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 대출 실행과 토지매매계약(대금 594억 318만 1000원) 체결 약속을 이행하지 못한 후속조처다. 유성복합터미널 조성계획이 2018년 5월 KPIH와 협약을 맺은 이후 2년 4개월 만에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면서 관심은 사업 재개 방안으로 모아진다. 시와 도시공사는 현재 민간사업자 재공모, 시 재정을 투입하는 공영개발, 도시공사의 직접투자, 민·관합동 개발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놓고 검토 중이다.

한 국장은 이날 "그간 네 차례 공모과정을 지켜보면서 사업을 끝까지 마무리할 수 있는 규모 있는 기업의 참여가 중요하고 대형사업이라는 점에서 실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판단했다"며 민간 재공모 방침을 시사하기도 했다. 다만 한 국장은 "이는 다시 민간공모로 추진한다고 가정했을 때 사업성을 높일 필요가 있고 참여기업의 입찰자격도 강화해야 한다는 취지"라며 "특정 사업방식에 무게를 두고 있지는 않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한 국장은 공영개발 방식과 관련해 "시 재정을 통한 공영개발은 일부 편의·상업시설이 들어가지만 터미널 사업이 기본이어서 민간자본에 의한 개발보다는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고 언급했다. 재정 투입 카드는 전체 사업 규모 축소와 함께 시로서도 예산 부담이 적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관련업계에서는 공영개발로 터미널을 조성하려면 1500억 원 안팎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2010년부터 민간공모로 들어왔던 사업자들이 터미널은 물론 주거·상업시설까지 건립한다면서 개발 기대감을 잔뜩 높여놓은 마당에 이제와서 공적자금으로 터미널만 짓겠다고 하기엔 쉽지 않을 것"이라며 "그간의 실패 경험을 토대로 재무구조가 견실하고 대규모 상업시설 등을 건립·운영해본 이력이 풍부한 민간사업자를 물색하고 투자여건을 만들어주는 방향으로 가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