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어제 정부 그린뉴딜 정책사업으로서 태양광 제품 양산 전 단계에서 성능 등을 검증할 수 있는 `100MW급 태양광 기업공동연구센터`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 태양광 연구센터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신동지구 내 9840㎡ 부지에 2022년 6월 준공될 예정이며 총사업비는 국비와 시비 등을 합쳐 500여 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대전에 들어설 태양광연구센터에는 국내 태양광 산업의 기술개발 역량을 총망라하는 연구시설로 규정된다. 부연하면 정부가 태양광 산업 멍석을 깔아주는 역할을 맡게 되고 태양광 기업들이 이를 공동으로 활용하는 테스트베드 개념으로 이해된다.

태양광 연구센터 대전 유치 성공은 더 없는 결실이자 쾌거로 평가된다. 이 사업을 추진하는 산자부 또한 제대로 최적지를 선정했음은 물론이다. 대전에 있는 에너지기술연구원 본원내에 태양광 관련 부서가 조직돼 있는 데다 대덕특구의 인적·물적 자산을 활용할 경우 협업을 통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에 가속도가 붙을 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로써 대전은 태양광 관련 국내 연관 산업의 메카로 거듭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 태양광 연구센터가 그 핵심축(린치핀)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태양광 연구센터가 R&D를 통해 기업 제품의 공정·성능 등에 대해 양산 전 단계에서 검증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이고 국내 태양광 셀·모듈 및 소재·부품·장비 제조기업들에겐 공동으로 기술 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제공된다고 하니 더 무슨 설명이 필요하겠나. 신동·둔곡지구에 중이온 가속기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특히 수소부품산업 육성·지원을 위한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정성 지원센터가 조성되고 있어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도 맞닿는다고 볼 수 있다. 그 연장선에서 산자부가 5년간 지원하는 3500억 원 규모의 태양광 R&D 사업도 직간접적으로 태양관 연구센터로 수렴돼 수행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자연히 대전 지역경제에도 `태양광 훈풍`이 불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대전이 태양광 연구센터를 품은 것에 대해 김명수 과학부시장은 "대전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맞는 말이고 나아가 글로벌 태양광 시장을 평정한다는 각오로 탄탄한 진지 구축에 나설 일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