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2부 장진웅 기자
취재2부 장진웅 기자
시기상조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별다른 존재감을 드러내지 않는 모습에 아쉬움을 숨기긴 어렵다. 김명수 대전시 과학부시장 이야기다.

대전시는 지난해 9월 전국 지자체 최초로 과학부시장제를 도입하며 기존 정무부시장에 대덕연구개발특구 출신 과학자를 임명했다. 민선7기 중후반기 경제·과학·미래 먹거리 분야에서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과 과학기술정책연구회 이사 등 과학자이자 행정가로 활동한 김 부시장은 적절한 인사로 평가받았다. 대덕특구와의 가교 역할을 넘어 지역 혁신 성장과 4차산업특별시 대전에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할 것이란 기대와 응원도 이어졌다.

대실소망(바라던 일이 허사가 돼 매우 실망함)이라고 했던가. 최근 지역에선 김 부시장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흘러나온다. 특히 충청권 유일 인공지능 대학원(KAIST AI대학원) 유출 사태와 관련해선 관망의 자세를 보이며 과학부시장으로서 구원등판 기회를 스스로 버렸다는 평가다. 또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이 대덕특구 파견 인력 수급에 난항을 겪을 것이란 시 내부 전망에도 특별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자, 그의 역할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도 감지되고 있다.

다만 김 부시장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게 시 내부 사정을 잘 아는 관계자의 말이다. "과학부시장이 힘을 받을 수 없는 구조"라는 관계자의 전언은 과학부시장 소관 부서이자 과학산업 정책을 펼치는 과학산업국 예산에서 그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지난해 과학산업국 예산은 시 전체의 2.4% 수준이었다. 그 전해보다 0.36%p 상승했지만, 시 전체 예산에서 1% 이상이 배정된 12개 실·국·본부 중 11위에 머문다. 올해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다. 장전되지 않은 채 전장을 뛸 순 없다. 시는 얼굴마담용으로 김 부시장을 영입하지 않았다면, 그가 제대로 활약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춰줘야 할 것이다. 김 부시장은 내달 4일 과학산업진흥원 출범식에서 미래 과학도시 대전에 관한 청사진(그랜드 디자인)을 발표할 예정이다. 그가 처한 상황과 별개로 자신의 존재 가치를 드러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장진웅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진웅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