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연구원, 팬데믹 이후 일상 변화 보고서
대전의료원 설립 시급, 재난대응 역량 점검 필요

대전시립의료원 조감도 [대전시 제공]
대전시립의료원 조감도 [대전시 제공]
대전 지역 포스트 코로나19 대안으로 공공의료원 설립 당위성이 강조되고 있다. 집단 감염병에 대응하는 공공의료체계 강화 방안의 하나로 의료 서비스 안전성 확보와 질적 향상이 가능하다는 게 대전의료원 건립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상의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세종의 경우 수익성이 응급, 외상, 심뇌혈관, 재활, 지역사회 건강관리 등을 수행하는 공공 의료 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대전은 공공의료원이 없어 코로나 확산에 즉각 대처가 어려웠다는 것.

국내 의료계는 노인 인구 증가로 만성질환 유병률 증가와 장기 치료에 따른 의료비의 공적 부담이 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은 감염병 확산을 막는데 급급, 제대로 된 긴급 대응 역량 파악이 지지부진하다는 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연구원은 지역 공공의료 시설의 현 주소에 대해 "코로나 확산 이전 음압병상 수만 파악하고 있었을 뿐 다른 긴급 대응 역량을 살필 수 없다"고 문제점을 짚었다. 그러면서 포스트 코로나 대응 방안으로 체계적인 지역 의료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급성질환을 가진 의료 취약계층이나 고령자가 적절한 시기에 의료원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기 요양, 중증 상태에는 의료기관 간 효율적 전달체계 구축을 통해 3차 병원인 충남대학교병원에 의뢰, 지속적 관리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지역 맞춤형 보건의료계획 수립이 가능한 점도 대전의료원 건립 필요충분조건으로 작용한다. 연구원은 대전의료원이 만들어지면 지역 특성에 뿌리를 둔 공공보건의료계획을 짤 수 있다고 봤다.

만성질환에 시달리는 노인부터 감염병 위험이 높은 노숙인과 장애인 등 의료 취약 계층에게 건강증진·예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연구원은 "공공의료서비스의 안전성 등을 높이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정밀 의료 솔루션을 제공하는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며 "ICT 기반의 자동화 기술 적용, 즉 공공병원으로서 임상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영국의 대학병원을 모델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 연계 방안에 대해선 "보건의료 혁신에 대한 연구 개발이 가능한 대덕연구단지와 협업해 빅데이터, 인공지능, ICT 기반 보건의료 정보 시스템을 꾸려야 한다"면서 "특수질환 연구, 신종 감염병 대처, 의료재난 대비, 변화하는 의료산업 경향을 반영한 스마트 병원 형태의 진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1990년부터 논의된 대전의료원 설립은 저조한 사업성 등으로 부침을 겪었다. 하지만 2017년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재추진 물꼬를 텄다. 지난해 코로나 집단 발병 후엔 공공의료와 감염병 전담시설 필요성이 공감대를 얻어,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았다. 오는 2026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대전의료원은 KDI 사업 적정성 평가를 앞두고 있다.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