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식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 백혈병 항암 화학요법 치료제 규명

국내 연구진이 항암제 효과가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를 구별해 낼 수 있는 유전자 발굴에 성공했다. 사진은 연구에 참여한 김유식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뒤)와 구용석 박사과정. 사진=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항암제 효과가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를 구별해 낼 수 있는 유전자 발굴에 성공했다. 사진은 연구에 참여한 김유식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뒤)와 구용석 박사과정. 사진=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항암제 효과가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를 구별해 낼 수 있는 유전자 발굴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급성골수성백혈병과 골수이형성증후군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 화학 치료제 중 하나인 데시타빈(decitabine)을 규명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냈다고 7일 밝혔다.

이를 통해 환자들이 치료에 드는 시간·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에는 김유식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서울대병원 혈액암센터 홍준식 교수 연구팀이 참여했다.

연구진은 데시타빈이나 아자시티딘과 같은 DNA 탈메틸화제를 투여받은 급성골수성백혈병과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 46명의 골수추출액을 분석했다. 그 결과 안정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스타우펜1`이 데시타빈 세포 반응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것을 최초 규명했다. 이 발현이 억제된 세포에서는 하위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암세포의 사멸도 관찰되지 않았다.

김유식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는 "이번에 찾은 유전자의 바이오마커화를 통해 데시타빈과 아자시티딘과 같은 DNA 탈메틸화제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어 효과적인 맞춤형 암 치료전략을 마련하는데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과 KAIST 미래형 시스템 헬스케어 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정인선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