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사업 수주 마중물 기대
대학 간 학사제도 등 걸림돌
지자체 상생 발전 성과 내야

곽상훈 에듀캣팀장
곽상훈 에듀캣팀장
흔히 지방 대학의 위기를 지역의 위기로 보는 시각이 크다. 지자체와 지방 대학을 한 배를 탄 공동운명체로 보는 탓이다. 대학의 위기가 지역의 위기로 이어질 거란 걸 아는 지자체가 지방 대학과의 상생을 위해 적극 나서는 것도 이런 때문일 거다. 최근엔 정부 차원의 지방 대학 살리기가 지역의 경제 활성화 정책과 함께 잇따라 발표되면서 위기 극복의 마중물이 되고 있다.

정부의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에 대전과 세종·충남 등 3개 지자체와 충청권 24개 대학이 참여한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 플랫폼`이 선정된 건 쾌거다. 초대형 국책사업 선정에 따라 앞으로 5년간 국비 2400억 원과 지방비 1030억 원이 투입, 지역에 활기가 돌게 됐다. 앞서 올해 800여 억 원이 투입되는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 공유대학 사업`에도 충청권 대학이 연합체 형태로 참여하게 된 점은 위기에 봉착한 지역 대학에게는 호기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이들 사업에는 공통점이 있다. 대학 간 경쟁을 자제하고 협업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공유대학` 개념을 도입한 게 그렇다. 지자체와 함께 참여하는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에는 충청권 24개 대학이 역할을 분담하고 3000여 명의 핵심 분야 인재 양성을 목표로 두고 있다. 특히 충청권 공유대학을 통해 400여 명의 핵심 인재를 배출키로 한 점이 눈에 띈다. 거점 국립대인 충남대를 총괄 대학으로 하는 대전·세종·충남 플랫폼에 참여하는 24대 대학은 공동의 학사조직을 구성하고 공동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학점교류, 졸업(인증) 등 소정의 이수 자격을 공동대학을 통해 부여하게 된다.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사업 역시 지역 대학을 포함한 전국 46개 대학이 신기술 분야 핵심인재 10만 명을 양성하는 게 골자다. 이 사업에 선정된 연합체 대학들은 향후 6년간 신기술분야의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공동으로 개발·운영해야만 한다.

문제는 공유경제와 같은 공유대학 개념을 도입하면서 발생할 걸림돌이 상당할 거란 점이다. 수도권 대학과 지역 대학의 물리적 거리, 국립대와 사립대 간의 학사제도 차이, 대학별 서로 다른 제도 등은 공유를 위해 넘어야 할 산들이다. 물리적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 대학 간 관련 산업 중심으로 교류한다손 치더라도 대학별로 서로 다른 학위, 학점 등 학사제도 개선은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사안이란 것이다. 학점과 기술, 교원, 시설 등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관련법 개정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혁신공유대학의 완성을 위해서는 정부가 관련법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설득력이 강하다. 이 참에 만연해 있는 대학 간 벽을 허무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대학이 지역발전에 기여토록 하고자 하는 지역혁신사업은 지방 대학이 주체가 되고 대학 자체 스스로 변화를 이끌어내야만 성과를 낼 수 있고 가능하다. 그런 점에서 충남대를 주축으로 추진 중인 충청 국립대 연합네크워크(연합대학원)는 공유대학 모델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현재 시범 사업으로 진행되고는 있지만 관련법 정비 미비 등으로 걸음마 수준에 불과한 점은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장기적인 발전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선 관련법 제정도 필요하다는 게 학계 입장이다.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이나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사업은 지역에 우수한 인재가 머물고 기업이 찾아오게 하는 정책이다. 이른바 지역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내에서 취업과 창업이 이뤄지는 선 순환 지원체계를 갖추도록 하는 게 목표다. 지자체와 대학 간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고 실질적인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하나로 뭉친 공유대학의 역할에 달려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에 직면한 지방 대학이 공유대학을 통해 위기를 돌파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곽상훈 에듀캣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