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22-24일 사흘간 국회 대정부질문을 진행한다. 사실상 6월 국회 중간 결산의 장이라 할 수 있다. 정부와 한배를 타고 있는 여당은 국정 성과를 확인하는 기회가 될 수 있고 반대로 야당은 정부 정책 전반의 문제점과 민생 분야 등에 대해 파고들수록 점수를 따기 좋은 무대라고 보면 된다. 여야는 이를 위해 사전 조율을 거쳐 질문자로 나설 의원들을 선정하고 숫자도 안배한다. 여야 의원들도 대정부질문 기회를 십분 활용하면 자신들의 존재감을 전국적으로 각인시킬 수 있다. 총리 또는 정부부처 각부 장관을 상대로 묻고 따지는 시간 20분을 주도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는 까닭에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된다.

그런 대정부질문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충청권으로선 다소 맥이 빠지는 느낌이 든다. 무엇보다 지역 출신 의원이 고작 2명에 불과하다. 이번 대정부질문 기간에는 하루에 10명씩 여야 의원 총 30명이 단상에 오른다. 이중 충청 출신은 대전 중구의 황운하 의원과 충북 청주 상당구가 지역구인 정정순 의원뿐이다. 둘 다 여당인 민주당 소속이며 야당인 국민의힘 의원은 실종돼 버린 상태다. 이를 대전·세종·충남으로 한정하면 사정은 더 난감해진다. 여야 지역구 의원이 20명인데 대정부질문자가 1명만 나온 것은 사정이 어떻든 과소대표된 것임을 부정하기 어렵다 할 것이다. 대정부질문은 지역 현안 문제를 공개적으로 짚을 수 있는 유용한 기회라는 점에서 여야를 불문하고 지역 출신 의원들이 단상에 올라야 유리하다. 최소 광역 지자체별로 1명 정도는 돼야 그나마 지역 주요 현안을 환기시키면서 정부의 능동적 정책 반응을 촉구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대전 출신 1명이 길지 않은 대정부질문 시간에 지역 주요 현안들에 대해 묻고 따지기란 역부족이라고 보는 게 맞다. 대전·충남 혁신도시 시즌2 정책을 비롯해 K-바이오 랩허브 공정 평가 건도 이슈화 타이밍을 잡기가 쉽지 않은 노릇이기 때문이다.

이들 사안 말고도 대전·충남이 정부부처와 긴장관계에 있는 국비지원 사업들이 많다. 의원 1명이 이를 감당해 대정부질문으로 수렴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녹록지 않은 일이다. 충청권의 많은 현안들에 대해 물꼬를 터야 하는 국회가 6월 국회다. 대정부질문을 지렛대로 삼아야 할 판인데 충청 선수층이 얇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