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7월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술자립에 특허청의 빅데이터 분석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특허청에 따르면 2019년부터 정부·중소기업의 소부장 핵심품목 R&D 과제 506개에 대해 특허 관점의 R&D 전략(IP-R&D)을 전면 적용해 소부장 기술자립를 위한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또 불화수소 등 핵심품목 특허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대체기술을 보유한 기업 등을 도출하여 공급선 다변화도 지원했다.

이에 지난 3월까지 핵심기술 특허 498건이 신청되는 등 해외 경쟁국이 특허를 선점하고 있는 소부장 기술자립 교두보를 마련했다.

소부장 분야 대일본 특허 무역수지 적자가 2019년 5억 9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1억 7000만 달러로 71% 감소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도 보이고 있다.

또 특허청은 소부장 수출규제 극복을 위한 R&D 전략 지원과 특허분쟁 대응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에 나섰다.

김용래 특허청장은 "아직 소부장 기술자립의 갈 길이 멀기 때문에 수출규제가 2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주요 소부장 프로젝트에 대해 특허 진단을 실시하여 향후 기술개발 방향을 재설정해 볼 필요가 있다"며 "올해 R&D 100조원 시대를 맞아, 소부장 뿐 아니라 국가 주요 R&D 프로젝트에 대해 IP-R&D를 제도화시켜 기술개발 효율성을 높여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라고 말했다.임용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용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