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개발된 무한한 잠재력의 영역 '달'
우주기술 개발-일자리 창출 등 기대효과

한국천문연구원 공모전에서 은상을 받은 배정훈 씨의 `정월대보름` 사진. 사진=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한국천문연구원 공모전에서 은상을 받은 배정훈 씨의 `정월대보름` 사진. 사진=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달 탐사 경쟁이 과거와 다른 모습으로 새롭게 시작됐다. 유럽과 중국, 일본, 인도 등 우주 선진국들은 물론 최근에는 민간 스타트업까지도 우주탐사에 참여하고 있다. 1969년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했던 아폴로 11호 이후 미국 역시 다시 달 착륙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우주 선진국은 달에서의 주도권 상실을 방지하고자 달 탐사를 통한 우주개발 주도권을 확보해 가고 있다. 달을 미개발된 무한한 잠재력의 영역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우주 선진국은 발전된 우주기술을 토대로 우주개발 영역을 지구 중심에서 달과 화성으로 순차적으로 옮겨가고 있다. 우주탐사를 통해 더욱 진보된 우주기술도 함께 확립해 가고 있다.

미국은 우주탐사를 통해 궁극적으로 우주개발 선도국으로서의 지위를 이어가는 동시에 미국의 과학·안보·경제 분야 이익도 추구하고 있다. 일본과 중국, 인도 등 주변국들도 달·혜성·화성 탐사를 활발히 진행 중이다. 달 탐사를 통해 달까지의 비행과 제어기술, 달 궤도 진입기술, 착륙 기술, 샘플 채취와 지구 귀환 기술, 극한 우주 환경에서의 달 탐사로버(행성 표면을 돌아다니며 탐사하는 로봇), 원자력전지, 우주인터넷 등 첨단 우주기술 개발과 우주산업화 촉진, 더 나아가 새로운 일자리 창출까지 기대하고 있다.

세계가 달에 다시 주목하는 이유는 달의 부존자원(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원) 확보와 화성 등 심우주 탐사를 위한 중간 기착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그동안 유인·무인 탐사를 통해 달에는 물과 헬륨3(He3), 우라늄, 희토류 등의 희귀자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주탐사를 시작하지 않으면 주변국과의 우주개발 경쟁에도 크게 뒤처지는 한편 자칫 우주 선진국으로의 골든타임을 놓칠 수도 있다. 현재까지 미국을 제외하고 무인 달착륙에 성공한 국가는 (구)소련과 중국뿐이다. 달 궤도선 탐사에 성공한 국가는 미국과 (구)소련을 포함해 일본, 유럽, 중국, 인도 등 6개국이다. 정민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