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자동차부품산업 지속가능 성장 한계
이차전지산업 등 경쟁력 강화해 시장 선도해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요동치는 산업전환기 대전·충청이 발 빠른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정부와 대기업이 주도하는 신산업으로의 재편 국면에서 산업의 뿌리인 제조업의 영세성 극복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목된다. 충청의 주력으로 꼽히는 서비스업과 자동차부품산업은 지속가능한 성장의 한계를 노정하고 있고, 친환경 미래차로의 대이동은 당면한 위기이자 기회로 지역 산업생태계의 대변환을 촉구하고 있다.

대전에서 서비스산업은 절대적이다. 최근 자료인 통계청의 `2019년 지역소득(잠정)`에 따르면 대전의 서비스업 산업비중은 78.2%로 서울(91.9%) 다음으로 높다. 대전의 지역내총생산(GRDP) 42조 7940억 원 가운데 31조 1820억 원이 서비스업의 몫이다. 서비스업 부진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건 이 때문이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김진호 과장과 배의환 조사역은 올해 6월 조사연구보고서를 내 대전의 서비스업 생산(GRDP 기준) 증가율이 2001-2010년 중 연평균 4.6%에서 2011-2019년에는 1.9%로 크게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대전이 인근 광역경제권에 걸친 서비스 공급거점으로 성장해온 모델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견해도 나온다.

기계·전기전자 등 1700여 중소제조업체가 모여 있는 대전 산업단지 4곳의 실적은 뒷걸음질하고 있다. 대전시가 발간하는 `월간 대전경제 7월호`를 보면 올 1분기 지역 산업단지의 생산액은 3조 7262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1% 감소했다. 4차산업 연관기업이 밀집한 대덕특구의 생산액이 1조 4066억 원에서 1조 148억 원으로 27.9% 대폭 감소한 건 뼈아프다.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주조·금형·소성가공 등 이른바 뿌리산업 관련기업 역시 체계적인 지원 부재와 무관심 속에 지역내 528개사, 전체 매출액 1조 7000억 원으로 전국에서 1% 안팎의 비중을 점하는데 그치고 있다. 매출액이 10억 원 넘는 기업이 148개(28%)에 불과할 정도로 대전의 뿌리산업은 영세하다. 대전시는 `첨단센서산업 허브도시`, `글로벌 바이오창업 허브도시` 등 신산업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지만 이제 걸음마 단계다.

충남은 격변기를 맞았다. 일대 혁신을 통한 도약이냐 도태냐, 퇴로 없는 양단 뿐이다.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선언`, `미래차 확산전략`과 국내 완성차업체를 대표하는 현대차의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 선언에 충남도내 차부품산업은 구조적인 체질 개선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2019년 기준 591곳, 종사자수 4만 1000명에 달하는 충남 차부품업체들이 공히 맞닥뜨린 최대 현안이다. 생산액 22조 원으로 전국 3위를 차지하고 있는 위상도 풍전등화다.

당진·천안·논산 등을 중심으로 밀집한 철강산업은 강화 기조로 흐르는 글로벌 환경규제 탓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천안·아산·서산 등지의 석유화학산업 또한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 공급과잉, 친환경정책, 빈번한 안전사고, 세대교체로 인한 숙련인력 부족 등 불확실성에 휩싸여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대전·충청에 울리고 있는 전방위적 산업위기경보 가운데서도 충청에 내재돼 있는 이차전지산업의 성장잠재력은 고무적으로 평가된다. 한은 대전충남본부 배준호 과장·임미라 조사역, 충북본부 조형진 과장이 올 2월 내놓은 보고서를 보면 충청권 이차전지산업의 생산(2019년 기준)과 수출(2020년 기준)은 전국 대비 각각 70.5%(15조 7000억 원), 45.8%(34억 달러·한화 4조 원)로 모두 전국 1위다. 이차전지는 일회용인 일차전지와 달리 충전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말한다. 그 용도는 전기차 배터리가 53.1%로 가장 높고 휴대전화, 전동공구 등 소형기기용(38.8%)으로 활용되고 있다. 연구진은 충청권 완성차업체가 기존 내연기관차에서 순수전기차로 생산을 전환하고 차세대 이차전지를 개발해 시장을 선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