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기관과 기업간 시너지 한계

전기차 등 미래 주역 산업이 나날이 각광 받고 있지만 정작 과학도시를 표명하는 대전에는 이 같은 미래 산업 성장 기반이 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부분 서비스업으로 이뤄진 지역 산업 구조 탓에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우수한 인프라가 있어도 시너지를 내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젊은 인재들이 수도권 행을 선호하는 상황에서 인공지능(AI) 등 미래 핵심 기술 분야 인재를 확보하기가 어렵고 기업의 수도권 유출 우려도 있어 지역 미래산업 생태계가 활성화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과기계 한 관계자는 "대전에는 출연연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우수한 인프라가 집적돼 있어 이른바 `과학도시`로 불린다"며 "하지만 지역 산업 생태계는 정작 서비스업에 몰려 있어 사실상 `소비 도시`"라고 운을 뗐다. 이어 "출연연 기술 등을 기반으로 한 스타트업이 대덕특구 내 속속 생겨나고 있지만, 지역 기업 등은 대체로 규모가 커지면 타 지역으로 본사를 옮기거나 결국 수도권 행을 택했다"며 "명실상부 과학도시로 입지를 굳히려면, 과학기술 관련 기업이 제대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야 하는 데, 대전은 기업하기 어려운 도시라는 이미지가 굳혀져 있어 해법이 필요해 보인다"고 진단했다.

대전이 출연연 등 과학도시 인프라가 있어도 인공지능(AI)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 개발에 필요한 인재 영입이 어렵다는 하소연도 나온다. 산업계 한 관계자는 "완전한 자율주행차 서비스를 위해서는 인공지능(AI)과 같은 통신시스템 등이 제대로 갖춰져야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다"며 "하지만 관련 기술을 보유한 인재가 적어 젊고 유능한 인재를 구하는 것이 하늘의 별 따기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역에서 인재를 배출한다고 하더라도 이들이 판교 등 수도권을 선호하는 성향이 짙은 게 현실"이라며 "지역 인재 양성을 넘어, 우수한 인재들을 지역에 계속 붙잡아 둘 수 있는 정책도 시행돼야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정인선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