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광석 한국소비자원 정책개발팀장
지광석 한국소비자원 정책개발팀장
2021년 기업들 사이에서 최대 화두는 단연 ESG다.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한다. 2006년 제정된 UN 책임투자원칙(PRI)에서 용어가 처음 등장한 이후 기업 경영을 위한 국제규범으로 자리잡았다. 지난해 등장한 코로나19 팬데믹은 본격적인 ESG 경영 시대를 여는 기폭제가 됐다. 최근 기후변화 대응과 사회적 안전망 구축이 강조되면서 공공부문에서도 ESG 관련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올 3월 기획재정부에서 공공기관 공시항목에 ESG 관련 항목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8월 제4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는 친환경·포용·공정경제로의 대전환을 위한 ESG 인프라 확충방안을 발표했다. 공공기관들은 스스로 ESG 경영을 실천하거나 ESG 관련 사업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소비자 또한 기업의 ESG 측면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올해 딜로이트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67%의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기업의 사회적 평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세계적으로 정치·경제적인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는 MZ세대는 윤리적 가치와 친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가치소비`를 중요하게 여긴다. 그렇다면 ESG와 관련한 소비자정책의 역할은 무엇일까. 먼저 환경(E) 요소와 관련, 친환경 소비문화의 확산이나 친환경 제품 테스트 및 표시규제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를 위한 정책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사회(S) 요소와 관련해선 기업이 소비자에 대한 공정거래, 소비자안전 및 소비자 개인정보보호 등 의무를 이행하도록 감독·규제하는 한편 기업 상생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지배구조(G) 요소와 관련, 기업이 소비자중심경영(CCM) 인증제도 참여와 같이 소비자중심적인 경영활동을 행할 수 있도록 유인하는 제도개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ESG를 요구하는 소비자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 소비자정책의 역할을 기대해 본다.

지광석 한국소비자원 정책개발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