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영 회장, 6470억 들여 천수만 간척
우리나라 전체 쌀 1% 생산량의 간척지
주민들의 삶 터전과 환경 파괴는 오명

박계교 충남취재본부장
박계교 충남취재본부장
생전에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은 천수만 간척지에 대해 각별한 생각을 가졌다. 그는 자서전인 `이 땅에 태어나서` 글을 시작하면서 첫머리를 일명 천수만 AB지구 간척지로 채웠다. 정 명예회장은 이 간척지에 대해 "그 옛날 손톱이 닳아 없어질 정도로 돌밭을 일궈 한 뼘 한 뼘 농토를 만들어 가며 고생하셨던 내 아버지 인생에 꼭 바치고 싶었던 이 아들의 때 늦은 선물"이라고 의미를 부여한 뒤 "내가 마음으로, 혼으로 아버지를 만나는 나 혼자만의 성지 같은 곳"이라고 했다.

정 명예회장에게 아버지의 향수를 불러온 이 간척지는 현대건설이 지난 1980-1995년까지 15년 간 6470억 원을 투입해 서산시 부석면 창리, 홍성군 서부면 궁리, 태안군 남면 당암리 등 3개 시군을 가로질러 바다를 막았다. 공사 과정은 험난했다. 서해 조수간만의 차로 물막이 공사가 난항이었던 것. 생각 끝에 정 명예회장은 기발한 묘책을 낸다. 훗날 일명 정주영 공법으로 불리는 유조선 공법이 그것. 세계적으로도 그 유래를 찾기 힘든 유조선 공법은 그렇게 역사에 기록됐다. 정 명예회장은 A지구 6400m와 B지구 1228m의 방조제 공사 중 최후로 남아 있던 A지구 270m에 대해 급류로 공사에 어려움을 겪자 해체해서 고철로 쓰기 위해 울산에 정박시켜 놓았던 23만t급 스웨덴 고철선 `웨터베이 호(폭 45m, 높이 27m, 길이 322m)`를 이곳으로 끌어와 방조제 사이를 막아 공사를 마무리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천수만AB지구 간척지는 1만 121㏊(A지구 6376㏊, B지구 3745㏊)의 간척농지, 4174㏊의 담수호(간월호 2647㏊, 부남호 1527㏊)를 합쳐 1만 4295㏊에 이른다. 이곳에서 해마다 생산되는 쌀은 우리나라 전체 쌀 생산량의 1%에 육박할 만큼 그 면적이 광활하다. 그만큼 국가 식량 증산에 톡톡히 기여한 셈이다.

무엇보다 1998년 6월 서산농장 내 목장에서 키워진 500마리의 소는 50대의 트럭에 실려 정 명예회장과 함께 육로를 통해 군사분계선을 넘는 이른바 `소떼 방북`이라는 역사적 장면을 연출했다. 이후 2003년까지 모두 4차례에 걸쳐 2000여 마리의 소가 북으로 보내졌다. 이는 금강산 관광 등 남북교류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됐다. 그 중심에 정 명예회장과 천수만 간척지가 있었다.

정 명예회장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는 간척지였지만 천수만이 회유성 어류의 최적 산란장 역할을 했던 곳이라 바다를 보고 살아온 지역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게 됐고, 천혜의 황금어장 파괴는 불가피했다. 이후 지역민들과 현대건설의 보상 마찰은 전국 최장 민원이란 또 하나의 기록으로 남았다.

천수만 간척공사로 1985년 이후 맥이 끊겼던 천수만산 김이 생산될 거라는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천수만은 지난 1984년까지 김 양식이 성업했으나 간척사업으로 양식장이 모두 폐업했다. 충남도수산자원연구소와 홍성군, 상황·어사·죽도·남당 등 4계 어촌계가 천수만 내 어장에서 추진한 김 양식 어장복원 시험연구어업이 지난 12월 첫 수확을 하면서 성공을 거뒀다. 이 사업은 지난해 8월부터 총 100책 규모의 지주식 방식으로 추진했는데, 시험 수확 결과 1책당 70-80㎏의 원초가 생산되는 것으로 확인했다. 천수만산 김을 맛볼 날이 멀지 않았다는 의미다.

어찌 됐든 천수만산 김 양식이 성공하기까지 40여년 가까이 흘렀다. 그때는 식량 증식을 위해 간척사업이 옳았겠으나 환경을 거스른 대가는 그 만큼 혹독하다. 어느 영화 제목인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처럼 시대적 상황 변화에 따라 선대에서 이뤄진 중요 사업들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달라질 수 있다. 그 당시에는 그것이 최선이었을지 모르나 지금은 또 다른 시대정신이 투영되면서 가치 평가의 척도도 변화하고 있다. 환경 문제는 더 그렇다. `만시지탄`의 천수만이다.

박계교 충남취재본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