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1팀 조은솔 기자
취재1팀 조은솔 기자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한 대학 신입생 미달사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문제는 수험생들의 수도권 대학 선호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대학 정시모집 평균 경쟁률이 수도권 6대 1인 반면 지방은 3.4대 1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지방대가 처한 어려움을 드러내고 있다.

지역을 등지는 청년들이 많아지면서 학생을 모집하는 지역 대학가는 그야말로 위기에 직면했다. 이번 정시 경쟁률에서 평균 3대 1 미만인 대전권 대학은 총 4개다. 수험생은 정시에서 1인당 3곳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중복 합격한 지원자가 다른 대학으로 이탈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 4개 대학은 사실상 `미달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셈이다.

대학 정원 미달은 심각한 문제로 이어진다. 특히 운영비 대부분을 등록금에 의존하는 지방 사립대의 재정난이 심해질 수 밖에 없다. 인원 미달로 등록금 수입이 줄어들면 교수 채용이나 장학금, 도서구입비, 실험실습비 등 교육 여건 개선이 힘들어진다. 대학 교육의 질이 떨어지면 자연스레 학생들의 피해를 초래한다. 이 같은 악순환은 지역경제에도 타격을 미친다. 학생들로 유지됐던 대학 상권 쇠퇴와 지역 기업들의 인재난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다만, 수도권 대학 쏠림 현상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는 시선이 지배적이다. 수도권이 정치·사회·경제·문화 등 모든 영역의 중심인 만큼, `기회의 땅`으로 가고싶어 하는 것은 자연스럽다는 이유에서다. 기회를 찾기 위해 지역을 떠나는 청년을 도저히 말릴 수 없는 현실이다.

결국 지역 대학의 위기는 자구노력만으로 해결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미 대전권 대학은 뼈를 깎는 혁신을 거듭한 상태다. 정부 차원에서 여러 차례 내놓은 육성책도 효과는 미미했다. 국가균형발전과 연계해 지방대의 경쟁력을 확보할 장기적 대책이 필요한 이유다. 말은 제주도로, 사람은 서울로 보내야 한다는 옛 말은 이제 묻어둘 때가 왔다. 취재1팀 조은솔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