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문제는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세종시 행정수도 정책에 시동을 건 후 정권이 세 번 바뀌었어도 본질적으로 달라진 것은 없다. 세종시를 둘러싼 담론을 종결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한길만이 존재한다. 세종시 수도 개헌이 아니고는 큰 마침표를 찍을 수 없는 것이다. 그동안 세종시를 키우는 정책적 노력들이 투입된 것은 맞다. 외교·안보 관련 부처를 제외한 행정안전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멀지않은 장래에 세종시에 둥지를 틀 것이라고 한다. 여성가족부·법무부도 이 대열에 합류하면 행정부 기능은 거의 집적이 완료된다.

당연히 세종시 문제는 이 것으로 끝날 수 없다. 종국적으로 청와대, 국회가 통째로 옮겨올 때 세종시 대미를 장식할 수 있다. 그게 입법작용으론 한계가 있었던 만큼 개헌작업을 통해 `세종시 수도` 규정을 명문화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런 상황에서 최대 변수는 대통령과 집권 여당의 강고한 의지와 신념이다. 이 얘기는 여권 내부에서 `이심(異心)`을 품으면 배가 어디로 갈지 누구도 장담 못한다는 가설을 성립케 한다. 이를테면 `행정수도`에 부쩍 강조점을 두는 것도 해석 나름이다. 이 지점에서 행정중심도시 `착시현상`을 경해야 한다. 세종시의 최종 목표는 명실상부한 수도 지위 획득에 있음은 천하가 다 안다. 행정중심도시는 중앙부처를 재배치한 `미완의 수도`로 이해돼야 하며, 따라서 개헌을 통해 권부의 핵인 청와대와 국회가 이전해와야 균형발전·지방분권 시대가 개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세종시 수도 개헌에 대한 새 정부의 정책 의지를 의심하지는 않는다. 다만 일각에서 엇박자를 낸다든가 모호한 논법을 구사하는 것을 보면 권력 내부의 기류에 걸리는 부분이 없지 않다. 새 정부는 정치권력적으로 절대 강자다. 게다가 강력하고 조직화된 지지세력이 여론형성의 전위로 활동한다고 보는 이들이 많다. 이런 마당에 만일 `세종시 수도` 완성 의지가 옅어질 경우 전문가 공론 표집이나 국민여론 추이, 또 하나 지역의 정치역량 등에서 건강한 긴장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동력이 확보될지 솔직히 의문이 든다. 기우(杞憂)이길 바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