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지역 치안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한 치안센터가 유명무실하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치안센터가 낮 시간대에만 운영되면서 범죄 취약 시간대에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사실상 `구색맞추기`에 불과한 운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9일 대전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역 내 치안센터는 모두 21곳에 이르고 있다.

경찰은 2003년 지구대와 파출소가 없는 지역에서 경찰 민원과 협력 치안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사건 발생 시 초동조치 등을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치안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지역 치안센터는 근무자가 1명으로 이마저도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만 근무하면서 범죄 취약 시간인 심야 시간대에는 문을 닫아 치안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취지가 무색한 실정이다.

경찰 내부에서도 치안센터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이러다보니 치안센터를 폐쇄하거나 지구대로 다시 운영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실제 올해 1월에는 2015년 개소한 둔산1치안센터가 청사지구대로 다시 전환돼 운영 중이다. 대전경찰청은 지난 해 본청에 치안 수요 증가에 신속히 대응하는 한편 치안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선 지구대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들도 치안센터가 생기면서 오히려 방범망이 허술해진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최근 야간에 용문동을 지나가다 폭력 행위를 목격한 김순영(67·탄방동)씨는 인근 치안센터에 신고하려 했으나 하지 못했다. 김 씨는 "싸움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치안센터에 신고하려 했지만 문이 닫혀있어 신고를 하지 못했다"며 "불은 켜져 있는데 사람도 없고 문은 잠겨있고, 무슨 치안 활동을 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또 통상적으로 은퇴를 앞둔 경찰을 상주 근무자로 배치하면서 인력 운용면에서도 쓴소리가 나오고 있다.

시민 박선규(40)씨는 "예전에는 상주 근무자가 없는 치안센터도 많았었지만 상주 근무자가 있어도 과거 파출소의 기능을 할 수 있지 않으면 치안 공백을 메꾸는 덴 턱도 없다"며 "치안센터의 치안 기능을 강화하는 등 센터 활용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찰 관계자는 "치안센터 근무자가 인근 지역을 방범 순찰하는 등 외근을 할 경우에는 치안센터 입구에 소속 지구대와 파출소 위치, 연락처를 안내하고 있다"며 "출입문 옆에 직통전화도 설치해 야간에도 지구대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해놨다"고 말했다. 강은선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은선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