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이전 악재, 반등 여지 전무 "중기부 이전에 경제 동력 상실"
올해 인구 순유출 1만 명 육박…150만 복귀 악재

2020년 11월 전국 인구 순이동률. 대전은 울산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 역외 유출이 심각한 지역이다. 사진=통계청 제공
2020년 11월 전국 인구 순이동률. 대전은 울산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 역외 유출이 심각한 지역이다. 사진=통계청 제공
대전 인구가 속절없이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자연 감소(출생아-사망자) 경향이 또렷해지는 상황 속 정주여건과 부동산 수요 등 사회적 요소가 담긴 인구 이동마저 수년 째 `마이너스 수렁`에 빠졌다.

사회적 현상인 저출산 문제를 공통분모로 두더라도 `역외 유출` 값이 커지는 게 인구 감소의 구조적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지역 주력 산업인 중소·벤처기업의 성장판 역할을 하는 중소벤처기업부 까지 대전을 떠날 태세여서 향후 지역 경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암울하기만 하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인구동향`을 보면 전국 출생아 수는 2만 1934명으로 1년 전보다 3679명(14.4%) 감소했다. 같은 달 대전의 출생아 수는 608명, 사망자는 678명으로 70명 자연 감소했다. 인구 1000명 당 출생아수를 의미하는 조출생률은 4.9로 전국 평균(5.0)을 밑돌고 있다.

9.6을 기록한 인접 세종시와 극명하게 대조된다. 통계청은 출산 연령층인 30대 여성 인구가 줄고 첫째 아이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출생아 수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대전은 자연감소를 차치하더라도 인구 역외 유출이 심각한 게 고민이다. 통계청의 `2020년 11월 국내 인구이동` 자료에 따르면 대전 전입 인구는 1만 6951명, 전출 1만 8519명으로 한 달 간 1568명이 순유출 됐다.

대전 인구 엑소더스는 2012년 세종시가 출범하고 2014년부터 두드러졌다. 당시 전입 인구는 23만 9559명, 전출 24만 8397명으로 8838명이 대전을 이탈했다. 순유출인구는 2015년 2만 616명, 이듬해 1만 631명, 2017년 1만 6175명, 지난해 1만 4753명으로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올해도 인구 감소 그래프는 여전히 감소 일색이다. 1월 700명, 2월 1100명, 3월 1300명이 이삿짐을 꾸려 대전을 떠났다. 하반기 들어선 10월 한 달 1500명이 역외 유출됐고, 11월엔 연중 최고인 1600명이 대전을 벗어났다. 올해 전체(12월 제외)를 놓고 보면 9200명이 정주여건, 투자 가치 등을 이유로 대전을 떠나 인구 150만 복귀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대전 인구는 2014년 7월 153만 6349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18년 2월 149만 9187명으로 150만 명이 무너졌고, 같은 해 12월 148만 9936명으로 줄었다. 대전은 140만 유지도 힘들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내다본 2040년 대전 인구는 140만 명이 무너진 139만 명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경제계는 새로운 산업과 성장 동력이 전무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대전산업단지의 한 기업 관계자는 "당장의 인구 유입 호재가 없는 점이 가장 큰 문제"라며 "신규 일자리 창출의 경우 일부 산업 분야에 집중돼 제조업을 포함한 전체적인 고용 훈풍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다른 기업인은 중기부 세종 이전을 대전 인구 감소의 방아쇠로 지목하며 "중기부 이전은 지역 경제 활성화의 숨구멍 역할을 하는 중소·벤처기업 경영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부동산 등 경제적 가치를 고려해 지역을 떠나는 시민을 탓할 게 아니고 대전을 계속 살고 싶은 도시로 가꾸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0년 11월 전국 시도별 인구 이동·이동률. 사진=통계청 제공
2020년 11월 전국 시도별 인구 이동·이동률. 사진=통계청 제공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